[다시 듣는 가야산 사자후]
사람을 만나면
페이지 정보
성철스님 / 1996 년 9 월 [통권 제3호] / / 작성일20-05-06 08:32 / 조회9,990회 / 댓글0건본문
다시 듣는 가야산 사자후/본지풍광 평석 3 / 성철 스님

수시
임제의 할(喝)은 땅을 파서 하늘을 찾음이요
덕산의 방(棒)은 얼음을 두드려 불을 찾음이다.
뜰앞의 잣나무(주1)는 굽은 것을 꺾어 곧은 것을 만듦이요
개에 불성이 없음(주2)은 금을 버리고 똥을 취함이로다.
석상수좌(石霜首座)는 무상정인(無上正印)을 차고
조계적자(曹溪嫡子)는 지옥에 떨어지기 화살 같으니
눈 밝은 큰 종사(宗師)가 어째서 칠수팔각(七手八脚)(주3)인가.
해설
석상스님의 수좌는 석상스님이 돌아가신 뒤에 구봉시자와 조실문제로 법담을 하다가 향연기 피어오르는 사이에 그냥 가버렸다. 그러자 구봉시자가 수좌의 등을 어루만지면서 앉아서 죽고, 서서 죽는 것은 없지 않은 일이나 선사의 도리는 꿈에도 보지 못했다. 그런 수좌는 지금 위없는 바른 도장을 차고 있고, 조계, 육조의 적자들은 화살같이 지옥에 떨어진다. 이것이 무슨 말인가. 이 뜻을 잘 알아야 내 법문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위의 게송을 알면 오늘 법문이 다 되었는데 몇 마디 더하겠습니다. (한참 묵묵히 계셨다.)
송
바람이 버들가지에 부니 버들강아지 솜털이 날리고
비가 배꽃을 두드리니 범나비 나는구나.
해설
임제스님의 제자 가운데 삼성(주4)과 흥화(주5)라는 이가 가장 뛰어난 제자입니다. 그래서 임제스님의 정법안장을 삼성과 흥화가 이어받았는데, 그 후 흥화스님의 아손이 천하를 풍미하였습니다. 그래서 임제문하라면 삼성과 흥화가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고칙
삼성스님이 법상에 올라 말하였다.
“나는 사람을 만나면 곧 나간다. 나가면 사람을 위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자 흥화스님이 이 말을 듣고 법상에 올라 말하였다.
“나는 사람을 만나면 나가지 않는다. 나가면 문득 사람을 위하는 것이다.”
해설
삼성은 사람을 보기만 하면 나간다. 그 말은 사람을 보기만 하면 나가서 접대를 한다. 그렇지만은 나가면 실제로 사람을 위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그 말입니다. 그러면 어째서 사람을 보면 나가는데, 즉 사람을 보면 나가서 접대를 하는데 그것이 실제로는 사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고 했습니까? 거기에 깊은 뜻이 있습니다. 그런데 흥화는 그 말을 듣고 말하기를, 사람을 보면 나가지 아니한다 즉 사람을 만나도 접대를 아니한다. 그런데 나가게 되면 실제로 사람을 위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삼성스님이 말한 것과는 정반대로 말했습니다. 여기에는 둘 다 참 깊은 뜻이 있는 것입니다. 만약 이 깊은 뜻을 깨쳐서 알면 임제의 골수를 분명히 아는 것이요, 삼세제불, 역대조사의 정법안장을 분명히 알 수 있고, 불법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은 사량분별로써는 이것을 절대로 모르는 것입니다.
착어
두 사람이 다같이 임제정인(臨濟正印)을 이었거늘 어찌하여 말하는 것이 이와같이 서로 반대 되는가. 여기에서 밝게 깨쳐 남김없이 철저하게 의심이 없으면, 임제스님만 친견할 뿐 아니라 큰 선지식의 신묘한 수법을 알 것이니 어떠한가?
송
하늘에는 별이 있어 다 북쪽을 향해 돌고
인간에는 동쪽으로 흐르지 않는 물이 없다.
고칙
죽암 규(주6)선사가 송하였다.
“사람이 가남함에 지혜 짧음이 많고 말이 여윔에 털 길어짐을 보나니
홀로 쌍봉사(雙峰寺)에 자고 한 가닥 향을 피우노라.”
해설
이 게송을 알 것 같으면 앞에 말한 별들은 모두 북쪽을 향해 돌고 인간에는 물들이 모두 동쪽을 향하여 흐르더라는 말도 알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삼성과 흥화스님이 한 법문의 낙처를 알 수 있습니다.
착어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이요 세지보살과 관음보살이니
눈 속에서 숯을 보내고 간장 속에서 소금을 얻는다.
필경 이 무슨 뜻인가?
주장자 한 번 내려치고 말씀하셨다.
송
만 얼굴의 야차(夜叉)가 겨우 머리를 숙이니
소머리의 옥졸이 문득 머리를 드는구나.
주
1) 뜰앞의 잣나무(庭前栢樹子) : 조주스님에게 어떤 스님이 묻기를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하니 조주스님은 “뜰 앞의 잣나무이니라.” 하였다.
2) 개에 불성이 없음(狗子無佛性) : 조주스님에게 어떤 스님이 묻기를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하니 조주스님은 “없다(無)” 하였다.
3) 칠수팔각 : 궁지에 몰려서 손발을 다급히 어지럽게 흔드는 모양을 말한다.
4) 삼성혜연(三聖慧然) : 생몰연대는 알 수 없음. 임제종의 승려
5) 흥화존장(興化存獎 : 830-888) : 임제종의 승려
6) 죽암사규(竹菴士珪 : 1083-1146) 임제종 양기파의 승려. 불안 청원의 법제자
사자후 원본
수시
臨濟喝은 掘地覓天이요 德山棒은 叩氷求火요 庭前栢樹子는 拗曲作直이요 狗子佛性無는 捨金取糞이로다 石霜首座는 佩無上正印하고 曹溪嫡子는 入地獄如箭이라 明眼大宗師가 爲什麽하야 七手八脚고
(良久)
송
風吹柳絮毛毬走하고 雨打梨花蛺蝶飛로다
해설
三聖 興化는 臨濟神足이니 具大機大用하야 傳臨濟正法眼藏하니라 三聖이 上堂云 我는 逢人則出하나니 出則不爲人이라 興化聞之하고 上堂云 我는 逢人則不出하나니 出則便爲人이라하니라
착어
師云 二人이 同佩臨濟正印이어늘 爲什麽하야 出言이 却如此相反고 於此에 明得하야 了徹無疑하면 非但親見臨濟오 亦知大善知識의 神妙手法하리니 作麽作麽오
송
天上有星皆拱北이요 人間無水不朝東이로다
고칙
竹菴 珪 頌云 人貧에 多智短이요 馬瘦에 見毛長이라 獨宿雙峰寺하고 同焚一炷香이라하니라
착어
師云 觀音勢至요 勢至觀音이니 雪中에 送炭하고 醬裏에 得鹽이로다 畢竟如何오
송
馬面夜叉才稽首하니 牛頭獄卒便擎拳이로다
(卓拄杖一下하시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비운의 제6대 달라이 라마를 아시나요?
정말로 잠양갸초의 고향집은 인도 동북부 끝자락의 따왕사원 아래에 있었는데, 지금은 자그마한 사원인 우르겔링 곰빠(Urgyeling G.)로 변해 있었다. 제6대 달라이 라마, 잠양갸초의 고…
김규현 /
-
불교의 법적 지위 획득에 노력한 함부르크불교협회
세계불교는 지금 26_ 독일 ❷ 글_ 툽텐 잠빠 번역_ 운산 함부르크불교협회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모든 불교전통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공통…
고경 필자 /
-
당하즉시와 본래현성
중국선 이야기 48_ 운문종 ❸ 운문종은 후기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네 번째로 출현하였으며, 오가는 모두 육조혜능을 계승했다고 표방하고 있다. 그러한 까닭에 운문종의 선사상은 『육조단경』…
김진무 /
-
대흥사로 가는 길은 봄도 좋고 겨울도 좋다
거연심우소요 53_ 대흥사 ❶ 대흥사大興寺는 한반도 땅 남쪽 끝자락에 있는 두륜산頭輪山(=頭流山=大芚山)에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이다.…
정종섭 /
-
시비분별, 중요한 것은 내 마음의 상태
질문 1. 시비[옳고 그름]를 나눔에 대해스님, 제가 어떤 일을 겪고 있습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떻게 해야 옳은 것이고 그른 것인지를 가려야 되겠지요? 일을 당할 때마다 시是와 비非를 가리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