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삶, 나의 기도]
옴 마리아 훔 컴 사바
페이지 정보
최준혁 / 1998 년 6 월 [통권 제10호] / / 작성일20-05-06 08:33 / 조회12,348회 / 댓글0건본문
최준혁(龍岩, 대구 시지중학교 3학년)
3000배, 정말 꿈 같은 소리였다. 처음 천배 정도는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아 매우 방심하다가 더 힘들게 되었다. 허리와 팔다리는 저려오고, 겨울의 찬바람 속에서도 옷은 서서히 땀으로 젖어 갔다. 하기 싫어하면서도 끝까지 해내고 있는 형, 누나, 동생들, 그리고 수련생들을 위해 함께 수고해 주신 법사님까지 모두들 열심이었다. 2000배를 끝낸 후 먹은 공양, 비록 우리가 매일 먹던 고기는 하나도 없었지만 꿀맛 그 자체였다. 절밥이 맛있다는 게 실감났다.
그리고 마지막 3000배가 끝났을 때, 우리들의 몸은 지칠대로 지쳐 있었지만 밤 하늘에 초롱초롱 빛나는 별들을 보는 순간, 피로는 순식간에 눈 녹듯이 풀려버리는 듯했다. 멋진 광경, 그야말로 휘황찬란한, 도시에선 결코 볼 수 없는 아름다운 광경이었다. 그리고는 곧장 잠에 푹 빠져버렸다.
다음날, 처음으로 바루 공양을 해보았다. 지금까지 일곱 끼를 바루 공양으로 하였는데 한 끼도 안 먹은 사람이 있는 반면, 나에게는 한 번도 맛보지 못한 꿀맛이었다.
삼천배 다음으로 우리를 힘들게 했던 아비라 기도, ‘옴 아비라 훔 캄 스바하’를 계속해서 되뇌이는데 반복해서 하다 보니 ‘옴 마리아 훔 컴 사바’로 외기도 하였다. 기도를 하는 30분 동안은 말 그대로 고통의 연속이었다. 아예 주저앉아 일어나지를 못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런데 두 번째 할 때는 그 사람이 가장 큰 소리로 ‘옴 아비라…’를 외쳤다. 정말 신기하였다.
3박 4일 동안 무지무지하게 고생도 많았다. 하지만 결코 잊지 못할 시간을 만들어 추억으로 고이 간직하도록 한 행사가 있으니, ‘촛불 의식’이다. 몇몇 학생들 때문에 가끔 분위기가 흐트러지기도 했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의식이다. 차분한 음성으로 전체 학생들을 감동시켜 눈물마저 글썽이게 하는 법사님, 물 흐르듯 바람이 일듯 잔잔하게 흐르는 구성진 음악과 이에 맞춰 하나가 되어버린 학생들, 한마디로 끝내줬다.
어쨌든 3박 4일간의 백련암 수련법회는 파란만장(?)했다. 힘도 들었지만 그만큼 보람도 컸다. 삼천배도, 아비라 기도도, 언젠가는 한 번은 겪어야 하는 인생의 고통을 대신해서 미리 받은 것이라 여길 수 있는 여유도 함께 느낄 수 있었기에….
끝으로 개구쟁이 학생들을 위해 애써 주신 스님들과, 가끔은 짜증이 날 정도로 미우면서도 결코 미워할 수 없었던 법사님이 고맙기만 하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운문삼구, 한 개의 화살로 삼관을 모두 뚫다
중국선 이야기 49_ 운문종 ❹ 운문종을 창립한 문언은 이미 조사선에서 철저하게 논증된 당하즉시當下卽是와 본래현성本來現成의 입장에서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앞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진무 /
-
불교전파와 바다 상인들의 힘
기원전 1500~기원전 1000년경 쓰인 힌두교와 브라만교의 경전 『리그베다(Rig-Veda)』는 숭앙하는 신을 비롯해 당시 사회상, 천지창조, 철학, 전쟁, 풍속, 의학 등을 두루 다룬다. 베다에…
주강현 /
-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유심’과 ‘님의 침묵’ 사이
서정주의 시에 깃들어 있는 불교가 ‘신라’라는 장소를 바탕으로 하는 불교, 『삼국유사』의 설화적 세계를 상상의 기반으로 삼는 불교라면, 한용운의 시에 담긴 불교는 ‘형이상학’이나 ‘초월’ 혹은 ‘공…
김춘식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