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및 특별서평]
옥기玉器 분석으로 민족의 기원 추적
페이지 정보
고경 필자 / 2020 년 7 월 [통권 제87호] / / 작성일20-07-20 15:26 / 조회11,612회 / 댓글0건본문
서평 – 『한민족과 홍산문화』
김윤태 | 선善 출판사 대표
국내 최초로 홍산문화 옥기玉器들을 분석해 한민족의 기원을 추적한 책이 나왔다. 『한민족과 홍산문화-홍산문화 옥기에서 찾은 한민족의 기원』(선善 출판사, 사진)이 바로 그 것이다. 기원전 45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현재 내몽고 동남부와 요녕성 서부에 분포했던 신석기시대 문화를 ‘홍산문화’라고 한다. 1906년 일본인 도리이 류조鳥居龍藏가 처음 발견했고,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굴되기 시작했지만 국내에는 여전히 생소한 편이다. 그러나 한민족의 기원을 밝혀줄 문화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관심을 가진 학자가 적지는 않다. 중국은 이미 ‘동북공정’을 통해 홍산문화를 자신들의 역사로 편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홍산옥기는 홍산문화의 핵심 중 핵심으로 홍산문화 연구에 필수적이다. 홍산옥기에 대한 책이 중국에서는 수십 권 나왔지만, 워낙 희소하고 접근하기 어려워 국내에서 출간된 책 가운데 이를 소개한 것은 매우 드물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그 동안 알려진 홍산옥기들을 소개하고, 학문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홍산옥기 180점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옥기 가운데 봉황 한 쌍, 소똥구리, 사마귀 등은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던 것들이다. 옥기와 다른 자료들을 철저하게 검증하고 정밀하게 분석해 책을 쓴 저자는 “홍산옥기 분석을 통해 홍산문화가 한민족의 기원임을 증명할 결정적인 증거들을 찾았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홍산옥기에 대한 특징들도 정리했다.
첫째, 홍산문화에서 한민족의 고유부호가 사용됐다고 저자는 설명했다. 홍산옥기의 유일한 무늬인 사격자무늬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를 거쳐, 고조선, 신라, 가야,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나타난다. 광개토대왕을 기리는 호우총 청동그릇(보물 1878호), 가야의 기마인물형토기(국보 275호)에도 이 무늬가 나온다. 저자는 바로 이 무늬를 ‘곰’ 또는 ‘곰족’을 표시하는 것으로, 고대 한민족의 부호라고 파악했다.
둘째, 동아시아에서 용은 고대 한국의 토템의 대상이었던 곰을 모델로 만들었다고 책은 지적한다. 동아시아에서 용과 봉황은 홍산문화를 비롯한 요하문명에서 시작되었다. 곰토템을 가진 홍산문화 사람들이 ‘하늘을 날 수 있는 신령한 동물’을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곰을 모델로 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곰은 고대 한국의 토템의 대상이었고 이는 단군신화에도 나온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봉황은 한국 토종의 긴꼬리닭을 보고 만들었다고 저자는 분석했다. 긴꼬리닭은 상고시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고유 특산품이다. 긴꼬리닭은 머리 위로 돌출한 벼슬, 나누어진 꼬리, 부리 밑의 고기수염, 10개의 주 날개[主翼] 등이 특징이다. 홍산옥기 봉황은 이런 특징을 그대로 닮았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한민족의 기원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는 홍산문화는 어떤 사회였을까? 저자의 결론은 크게 두 가지다. 홍산문화는 인간 중심의 사회였다는 것이 첫 번째다. 홍산문화 유물에는 다른 시대에 비해 인물상이 눈에 띄게 많이 등장하고, 지금까지 확인된 홍산문화 옥기 중에서 가장 무겁고 큰 것은 신상이 아닌 인물상이라는 점 때문이다. 홍산문화는 여성 우위의 사회였다는 것이 두 번째 결론이다. 여성상들은 눈, 코, 귀, 눈썹이 모두 크고 입은 굳게 다물어서 위풍당당하다; 매우 큰 여성상 조각들도 있다; 남성상과 여성상을 한 쌍으로 조각하면서 여성상의 머리만 사격자 무늬로 장식했다는 점이 주된 이유다. 사격자 무늬는 당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소중한 옥기에만 새겼다. 여성상에만 사격자 무늬를 새긴 것은 따라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검사 출신 변호사인 저자(구본진)는 20대부터 돌도끼·돌칼·토기 등 고대 유물을 수집했고, 독립운동가의 친필을 모으는 과정에 신채호·박은식 등이 심혈을 기울였던 한국 고대사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 글씨 분석을 통해 한민족의 기원과 특성을 추적한 『어린아이 한국인 : 글씨에서 찾은 한국인의 DNA』(2015년, 김영사)를 쓰며 홍산문화를 다루기 시작한 저자는 홍산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한국요하문명연구소를 설립했고 이를 소개하는 유튜브 K-Relic을 운영하고 있다. 한민족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미술과 고대사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일독一讀할 만한 책이다. 책을 읽으면 한민족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고 한국의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무엇이 너의 본래면목이냐
오래전 이런저런 일로 서울을 오르내릴 때, 조계사 길 건너 인사동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한 이층집 벽면에 벽을 가득히 타고 올라간 꽃줄기에 주황색 꽃잎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장관을 이루고 있었는데, …
원택스님 /
-
법안문익의 생애와 일체현성一切見成의 개오
중국선 이야기 54_ 법안종 ❶ 중국은 당조唐朝가 망한 이후 북방에서는 오대五代가 명멸하고, 남방에서는 십국十國이 병립하는 오대십국의 분열기에 들어서게 되었고, 이 시기에 남방에…
김진무 /
-
검선일여劍禪一如의 주창자 다쿠앙 소호
일본선 이야기 21 일본 역사의 특이점은 1192년 가마쿠라 막부로부터 1868년 메이지 혁명에 이르기까지 무사의 통치가 장기간 이어졌다는 점이다. 왕이 존재함에도 …
원영상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⑤ - 연교演敎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9 삼승차제연금언三乘次第演金言삼승차제로 금언金言을 연설한다 말입니다. 삼세여래역공선三世如來亦共宣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역시 삼승차제를 가지고 법…
성철스님 /
-
붓다, 빛으로 말하다
밤하늘 남쪽 깊은 은하수 속, 용골자리 성운은 거대한 빛의 요람처럼 숨 쉬고 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적외선 눈은 그 안에서 막 태어난 별들의 울음과 죽음을 준비하는 거대한 별의 고요한 숨을 …
보일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