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공과 도자기]
장인匠人, 손이 익는다는 것
페이지 정보
김선미 / 2019 년 12 월 [통권 제80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8,570회 / 댓글0건본문
김선미 도예작가
내가 도자기를 하겠다고 마음을 굳힌 것은 우연히 들른 김제의 귀신사歸身寺에서 차를 한잔 대접받고서였다. 말차를 한잔 타 주셨는데 차보다도 찻그릇이 마음에 탁 와 닿았다. 단순하면서도 운치가 있고 기울지 않는 당당함이 있으면서도 소박한 느낌이 있었다. 저런 인생을 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군더더기 없는 명료함과 어리숙함이 함께 들어 있었다.
누구의 그릇이냐고 물어보니 ‘문경의 천한봉 선생님’이라고 했다. 나는 그때까지도 문경에 그런 분이 있다는 것도 몰랐고 다완茶碗의 존재도 몰랐었다. 집에 온 후 계속 내 마음은 그 차 사발에 가 있었다. 인생에서 저런 그릇을 한번 만들어보면 후회가 없을 듯 했다.
다행히 인연이 닿았는지 선생님께서는 제자로 받아주셨다. 하시는 말씀이 도자기의 기술적인 것은 그리 중요한 것도 아니고 자기가 훈련을 해야 잘 할 수 있는 것이니 마음을 배워가라고 하셨다. 도자기집에서 기술적인 기법을 배웠다기보다는 선생님 말씀대로 개밥도 주고 과수원일도 하고 나무도 나르고, 가마 불을 때며 그릇을 손질하기도 하고 흙을 갈기도 했다.
‘천한봉 선생님 문하로 들어가다’
지금 생각하면 참 벅찬 순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침 첫차로 선생님 댁에 가면 이미 새벽 2시부터 작업한 그릇들이 작업장에 꽉 차 있었다. 아침 일찍 주흘산의 기운이 내려앉은 듯 상쾌한 바람과 문득 문득 고개를 들면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곳.
그러나 작업장 안은 숨쉬기조차 어려운 긴장감과 엄숙함이 있었다. 또 하루에 만들어 건조하여 굽까지 깎는 시스템이어서 봉당에 불을 뜨겁게 때서 고무신을 신으면 발바닥이 뜨거웠다. 공기도 진땀이 날 정도로 후덥지근해서 숨이 탁탁 막혔다.

선생님의 작업하는 모습(60페이지 사진)은 너무나 시원했다. 흙덩이를 올리고, 힘 있게 탁탁 두드리고, 빠르게 중심을 잡으면 금세 그릇이 뚝딱 나왔다. 손이 익었다는 것…. 너무나 멋진 모습이었다! 물레는 돌고 있고 마음조차 놓아 버린 손에선 어느새 그릇이 태어나고…. 손(59페이지 사진)은 익고 무심으로 그릇을 만들어내는 경지.
선생님은 올해 87세다. 16세에 시작해서 지금껏 한눈 안 팔고 그릇을 만들어왔다. 젊은 시절엔 하루에 800개의 그릇을 만들어 굽까지 다 깎았다고 한다. 먹고 살기 위해 선택한 길이었다. 저렇게 손이 익을 정도면 평생 몇 개의 그릇을 만들었을까. 계산조차 되지 않는다.
내가 처음 그 차 사발을 봤을 때 느꼈던 그 단순함과 엄숙함이 익을 대로 익은 손에서 무심으로 나온 거였다.
언젠가는 재미삼아 선생님이 그릇 만드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 시간을 재본 적이 있다. 다완은 30초를 넘지 않았고 찻잔은 15초였다.
일본 작가가 와서 선생님 작업장에서 작업을 해 함께 불을 때는 과정을 일본 방송사에서 다큐를 찍고 있었다. 선생님의 익은 손은 마치 퍼포먼스같이 달인 그 자체였다. 작업 스타일이 다른 일본 작가는 10분이 넘도록 그릇을 주물럭거리고 이리 살피고 저리 살피고 이리 만지고 저리 만지고 있었다. 선생님은 뭐라 말하지도 못하고 한참을 지켜보다가 담배 태우시러 나가시던 것이 생각난다. 그리고 같이 작업한 작품을 불을 땐 후, 일본에서라면 일주일 후에 완전히 식은 다음 꺼낼법한데 선생님은 불씨가 다 꺼지기 전에, 몇 백 도는 되는 온도임에도, 수건으로 싸매고 들어가서 그릇을 꺼냈다. 선생님의 얼굴이 완전히 익어서 빨개져서 나오니 일본작가가 자신도 꺼내보겠노라며 수건을 싸매고 가마에 들어갔다. 십초쯤 되었을까? 지금 생각해도 웃음이 나온다. 얼굴은 탈 듯이 익어서 나 살려라하면서 뛰쳐나오던 모습이 선하다.
닳아버린 지문
다완이 일본에서는 다도에서 쓰이는 가장 중요한 물건이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선생님의 작품을 하나 소장하는 것이 다인들의 소원이다시피 했다. 일본에서 300여 회의 전시회를 했는데 늘 곤욕을 치르는 과정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입국 심사 할 때 지문을 찍는데 지문이 다 닳아버려 난감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언제 닳았는지도 모르게 닳아진 지문指紋. 언젠가는 지문뿐만이 아니라 손가죽이 다 닳아 피가 나는 것을 본적도 있다.
가끔 장인과 예술가의 경계를 생각할 때가 있다. 내 유전자는 장인 쪽으로 마음이 기울어 객관적인 구분이 어렵지만, 몸이 익었다는 것…. 그것은 참 숭고한 일인 것 같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무엇이 너의 본래면목이냐
오래전 이런저런 일로 서울을 오르내릴 때, 조계사 길 건너 인사동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한 이층집 벽면에 벽을 가득히 타고 올라간 꽃줄기에 주황색 꽃잎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장관을 이루고 있었는데, …
원택스님 /
-
법안문익의 생애와 일체현성一切見成의 개오
중국선 이야기 54_ 법안종 ❶ 중국은 당조唐朝가 망한 이후 북방에서는 오대五代가 명멸하고, 남방에서는 십국十國이 병립하는 오대십국의 분열기에 들어서게 되었고, 이 시기에 남방에…
김진무 /
-
검선일여劍禪一如의 주창자 다쿠앙 소호
일본선 이야기 21 일본 역사의 특이점은 1192년 가마쿠라 막부로부터 1868년 메이지 혁명에 이르기까지 무사의 통치가 장기간 이어졌다는 점이다. 왕이 존재함에도 …
원영상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⑤ - 연교演敎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9 삼승차제연금언三乘次第演金言삼승차제로 금언金言을 연설한다 말입니다. 삼세여래역공선三世如來亦共宣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역시 삼승차제를 가지고 법…
성철스님 /
-
붓다, 빛으로 말하다
밤하늘 남쪽 깊은 은하수 속, 용골자리 성운은 거대한 빛의 요람처럼 숨 쉬고 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적외선 눈은 그 안에서 막 태어난 별들의 울음과 죽음을 준비하는 거대한 별의 고요한 숨을 …
보일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