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및 특별기고]
가야산의 사자후를 추모하며
페이지 정보
고경 필자 / 2023 년 11 월 [통권 제127호] / / 작성일23-11-04 21:54 / 조회2,168회 / 댓글0건본문
특집 | 성철대종사 열반 30주기 추모 학술대회 : 개회사
권기현•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장
성철스님의 열반 30주년을 맞아 스님의 가르침에 지심으로 정례 올립니다.
지난 세기말 나아갈 방향을 잃고 헤매던 한국 사회에 우레같은 사자후로 우리를 일깨워 주셨던 스님께서 홀연 열반하신 지 30년이 되었다는 것에 무상의 진리를 체감합니다. 오늘 이 학술대회의 목적처럼 여전히 혼탁한 우리 사회의 정화를 위해 스님의 가르침이 더욱 절실하다는 생각 위에 개최된 ‘성철스님 열반 30주년 추모 학술대회와 제6회 퇴옹학술상 시상식ʼ을 성철사상연구원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게 된 것에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는 2006년 부산과 영남권 불교학자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학술단체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온 결과 『동아시아불교문화』라는 학술지를 연간 6회 발간하는 전국적 학회로 발돋움하게 되었습니다. 문학·역사·철학 전분야를 통틀어 연간 6회의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는 유일한 학술단체가 되었습니다. 이런 성장의 배경에는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택스님의 한결같은 지지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오늘 이 환희로운 법석에 참석해 주신 많은 고승대덕 스님들께 학회장으로서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특히 종단의 종무행정과 대사회적 공사에 쉴 틈 없는 시간에도 이 자리를 빛내고 치사를 해주시기 위해 참석하신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님이신 진우스님께 감사의 합장례를 올립니다.
본 행사를 위해 축사를 맡아 주신 전 한국불교학회장 권탄준 금강대 명예교수님과 전 한국불교학회장 김성철 동국대 명예교수님께도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또한 뜻 깊은 학술대회를 위해 노구를 이끌고 기꺼이 종합토론의 좌장을 맡아 주신 전 한국불교학회장 법광 이평래 충남대 명예교수님께도 마음 모아 깊은 감사의 예를 올립니다. 본 학술대회의 주인공인 발표자 6분의 교수님과 학술상 수상자 2분에 대해서도 여기서 한 분 한 분 마땅히 소개와 감사의 인사를 올려야 하지만 프로그램 진행 중에 각각 별도의 소개와 감사인사가 있을 예정이라 여기서는 갈음함을 혜량해 주시길 바랍니다.
본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많은 분들이 애써 주셨습니다. 그중에서도 본 행사의 기획에서부터 오늘의 사회까지도 도맡아 솔선 헌신해 주신 백련불교문화재단 사무국장 일엄스님과 성철사상연구원 서재영 원장님께 진심으로 감사 인사 올립니다.끝으로 본 행사를 후원해 주신 백련불교문화재단을 비롯해 성철스님문도회의 모든 사찰 주지스님들과 신도회 그리고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무한한 환영 인사와 더불어 오늘 새롭게 조명될 성철스님의 가르침이 큰 감로가 되어 복지구족되시길 합장서원 올리면서 본 행사의 개회사를 갈음하고자 합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비운의 제6대 달라이 라마를 아시나요?
정말로 잠양갸초의 고향집은 인도 동북부 끝자락의 따왕사원 아래에 있었는데, 지금은 자그마한 사원인 우르겔링 곰빠(Urgyeling G.)로 변해 있었다. 제6대 달라이 라마, 잠양갸초의 고…
김규현 /
-
불교의 법적 지위 획득에 노력한 함부르크불교협회
세계불교는 지금 26_ 독일 ❷ 글_ 툽텐 잠빠 번역_ 운산 함부르크불교협회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모든 불교전통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공통…
고경 필자 /
-
당하즉시와 본래현성
중국선 이야기 48_ 운문종 ❸ 운문종은 후기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네 번째로 출현하였으며, 오가는 모두 육조혜능을 계승했다고 표방하고 있다. 그러한 까닭에 운문종의 선사상은 『육조단경』…
김진무 /
-
대흥사로 가는 길은 봄도 좋고 겨울도 좋다
거연심우소요 53_ 대흥사 ❶ 대흥사大興寺는 한반도 땅 남쪽 끝자락에 있는 두륜산頭輪山(=頭流山=大芚山)에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이다.…
정종섭 /
-
시비분별, 중요한 것은 내 마음의 상태
질문 1. 시비[옳고 그름]를 나눔에 대해스님, 제가 어떤 일을 겪고 있습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떻게 해야 옳은 것이고 그른 것인지를 가려야 되겠지요? 일을 당할 때마다 시是와 비非를 가리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