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예술]
체득하다
페이지 정보
송현수 / 2021 년 8 월 [통권 제100호] / / 작성일21-08-04 14:44 / 조회4,743회 / 댓글0건본문
각자반야刻字般若 6. 照見조견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이 반야바라밀을 깊이 운용해 오온이 모두 공함을 체득하고 모든 괴로움을 뛰어넘었다.”
‘조견照見’. 30cm×40cm, ‘해남석 10cm×5cm’. 2013년.
『반야심경』의 이 구절에는 중요한 글자가 많습니다. ‘조견照見’이라는 글자도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비추어 보다.”는 의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몸으로 깨달았다’는 뜻을 가진 체득體得으로 옮겼습니다. 머리로 이해한 것과 몸으로 체득한 것의 차이는 하늘과 땅 만큼이나 큽니다. ‘머리로 이해한 운전’과 ‘몸으로 체득한 운전’을 생각해 보면 이해되실 겁니다. 머리로 이해한 운전술로는 차를 운전할 수 없습니다.
돌에 새겨진 두 글자 ‘조견照見’에는 “전서체, 예서체, 해서체, 행서체”라는 고정된 생각을 넘어선 ‘그 무엇’을 담고자 노력했습니다. 칼로 표현된 선線은 맑고 선명하고 유연하며 배경에는 은은한 연꽃향이 피어있습니다. 깨침의 순간을 최대한 명징明澄하게 표현해보고 싶었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