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판화]
판화로 만나는 극락 영원한 자유의 세계
페이지 정보
한선학 / 2021 년 8 월 [통권 제100호] / / 작성일21-08-04 15:05 / 조회6,540회 / 댓글0건본문
불교판화8. 관경 만다라觀經曼茶羅
코로나 19라는 역병이 몰아치면서 우리의 현실이 영원한 자유와 행복이 있는 극락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종교의 본래의 자리인 내세에 대한 강한 믿음이 싹틀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도 할 수 있다.
정토에 관해 설해놓은 『관무량수경』에서도 아사세 태자의 어머니인 위데휘 부인이 정토에 나기를 강력하게 부처님께 발원하는데 자신에게 닥친 극한의 상황인, 아들인 아사세가 남편과 자신을 죽이려는 사건으로 인해 발심하게 되는 것을 우리는 보았다. 세계인이 겪고 있는 소리 없는 전쟁인 코로나 19때문에 우리에게 닥친 극한 상황이 영원한 자유와 행복의 세계인 극락에 대한 염원과 믿음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하고 있다.
사진 1. 관경 만다라觀經曼茶羅. 일본 16c, 목판에 채색, 80x72cm.
『관무량수경』을 불화 형식으로 표현한 채색 관경 만다라를 중심으로 ‘흑백 관경 만다라’와 ‘삽화 16관경’ 등을 비교해 가면서 우리의 영원한 안식처인 정토의 세계로 여러분을 안내하여, 내세를 믿는 믿음에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한다. 『불설관무량수경佛說觀無量壽經』에는, 화려하고 웅장한 아미타여래의 정토세계의 아름다운 정경을 잘 설명하고 있는데, 이 정토세계를 당나라 선도 대사는 『관경사첩소觀經四帖疏』를 지어 「정토변상도淨土變相圖」 삼백 포를 그리게 했다고 『서응전瑞應伝』에 전하고 있다.
돈황석굴에도 정토변상도가 남아 있어 있으며, 고려시대 그린 관경변상도가 일본에 다수 남아 있다. 더 나아가 정토종 신자들이 많은 일본에서는 관경 만다라가 유독 많이 제작되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관경 만다라 그림은 나라 당마사當麻寺에 전래되는 「당마 만다라當麻曼茶羅」(사진 1·2)로, 이것은 천평天平 7년(763)에 후지와라노 토요나리(藤原豊成. 704-766)의 딸 주조히메(中将姫. 747-775. 출가하여 법여法如라 칭함)가, 연근蓮根에서 뽑은 연사蓮絲를 가지고 하룻밤에 짰다고 하는 전설이 있는 그림으로, 세로 395cm, 가로 397cm 의 대형 자수 불화이다. 이것을 ‘근본 만다라根本曼陀羅’라고 부른다.

이 만다라는 『관무량수경』 뿐 아니라, 『무량수경』과 『아미타경』을 비롯하여 3경經 1론論 5부部 9권卷 일체를 하나의 그림에 표현한 것이라 하며, 중앙의 한 구획을 내진內陣(현의분玄義分), 우측외진(정선의定善義), 좌측외진(서분의序分義), 하측외진(산선의散善義)의 4구획으로 나눠진다. 내진(현의분)은 아미타여래의 극락정토를, 좌측외진(서분의)은 관경이 설해진 인연과 우측외진(정선의)은 아미타불의 정토로 마음을 돌리는 관법, 하측외진(산선의)은 왕생인의 모습을 복잡하고 치밀한 구성으로 표현한 경이로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여러 대에 걸쳐 전사되었으며, 목판화로도 개판되어 일본은 물론 중국에 까지 널리 배포되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햇살 속에서 익어가는 시간, 발효의 기적
8월은 발효의 계절입니다. 찌는 듯 무더운 날씨 가운데 발효는 우리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을 선사합니다. 오늘은 발효가 되어 가는 향기를 맡으며 발효를 이야기해 봅니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음식을 경험…
박성희 /
-
인도 동북부 수해 지역 찾아 구호물품과 보시금 전달
연등글로벌네트워크 회원들은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 프라데시주州 마이뜨리뿌리 지역의 사찰과 마을을 찾아 수해복구를 위한 보시금과 구호물품 등을 전달하고, 봉사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지역은 지난 6월 초…
편집부 /
-
운문종의 법계와 설숭의 유불융합
중국선 이야기 53_ 운문종 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문명을 구가하던 당조唐朝가 멸망하고, 중국은 북방의 오대五代와 남방의 십국十國으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의…
김진무 /
-
마음 돈오가 가능한 이유
인간의 인지능력이 보여주는 가장 현저한 특징은 ‘사유 활동’이다. 차이를 기호(언어)에 담아 분류한 후, 기호로 분류된 차이들을 비교하고 선별하는 기준을 만들며, 선별 기준을 정당화시키는 논리와 이…
박태원 /
-
세상의 주인은 누구인가?
세주世主, 문자 그대로 ‘세상의 주인’이라 불리는 이 명칭은 『화엄경』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근엄한 인상을 준다. 대개는 부처님이나 뛰어난 성자를 떠올리겠지만, 「세주묘엄품」이 내세우는 세주는 이…
보일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