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반야]
천년 가는 보배는 수행해 닦는 마음
페이지 정보
담계 이주용 / 2021 년 5 월 [통권 제97호] / / 작성일21-05-04 14:01 / 조회8,105회 / 댓글0건본문
“백년탐물일조진百年貪物一朝塵, 삼일수심천재보三日修心千載寶”
“백 년 동안 탐한 재물은 하루아침에 티끌로 사라져도 사흘 동안 닦은 마음은 천년의 보배가 된다.” 『초발심자경문』에 나오는 구절로 물욕탐심이 얼마나 헛된 것인가를 알려주는 말입니다. 인간인 이상 재물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고 자본주의 사회에 살며 물욕을 다 버리고 살 수는 없습니다. 『맹자·양혜왕장구(상)』에 나오는 “일정한 재물이 없으면 일정한 마음도 없다[무항산無恒産 무항심無恒心]”는 말처럼 경제적 안정이 없으면 바른 마음을 항상 유지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재물을 탐해 부富를 이룬다 해도 삶이 행복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 있는 것이 재물이기도 합니다. ‘인생의 목표를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도 있는 재물을 탐하는 데만 두지 말고, 마음을 닦아 깨달음을 얻는 것에도 관심을 두라!’는 가르침이겠습니다. 형상을 가진 모든 것들은 언젠가는 사라져도 잠깐이나마 수행한 공덕은 천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햇살 속에서 익어가는 시간, 발효의 기적
8월은 발효의 계절입니다. 찌는 듯 무더운 날씨 가운데 발효는 우리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을 선사합니다. 오늘은 발효가 되어 가는 향기를 맡으며 발효를 이야기해 봅니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음식을 경험…
박성희 /
-
운문종의 법계와 설숭의 유불융합
중국선 이야기 53_ 운문종 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문명을 구가하던 당조唐朝가 멸망하고, 중국은 북방의 오대五代와 남방의 십국十國으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의…
김진무 /
-
인도 동북부 수해 지역 찾아 구호물품과 보시금 전달
연등글로벌네트워크 회원들은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 프라데시주州 마이뜨리뿌리 지역의 사찰과 마을을 찾아 수해복구를 위한 보시금과 구호물품 등을 전달하고, 봉사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지역은 지난 6월 초…
편집부 /
-
마음 돈오가 가능한 이유
인간의 인지능력이 보여주는 가장 현저한 특징은 ‘사유 활동’이다. 차이를 기호(언어)에 담아 분류한 후, 기호로 분류된 차이들을 비교하고 선별하는 기준을 만들며, 선별 기준을 정당화시키는 논리와 이…
박태원 /
-
세상의 주인은 누구인가?
세주世主, 문자 그대로 ‘세상의 주인’이라 불리는 이 명칭은 『화엄경』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근엄한 인상을 준다. 대개는 부처님이나 뛰어난 성자를 떠올리겠지만, 「세주묘엄품」이 내세우는 세주는 이…
보일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