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예술]
가도 본래 그 자리요 이르러도 그 자리다.
페이지 정보
송현수 / 2021 년 4 월 [통권 제96호] / / 작성일21-04-05 10:14 / 조회5,346회 / 댓글0건본문
‘행행본처行行本處, 지지발처至至發處.’ 의상義湘 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를 해설한 『화엄일승법계도기총수록華嚴一乘法界圖記叢髓錄』에 있는 말씀이다. ‘가고 또 가도 본래 그 자리요, 어느 경지에 이르러도 출발한 그 자리다.’는 의미다.
“또 다시 봄이다
씨 뿌려 거두어 보니 뿌린 만큼이네
한갓 미물에서부터 자연의 섭리가
‘행행본처行行本處요 지지발처至至發處’임을 깨닫게 한다
우리네 인생 또한 지지발처至至發處일 것이다”
인문印文은 갑골문甲骨文으로 새겼으며 우·좌측으로 각각 네 자씩 자폭字幅을 달리해 배치했다. 자간字間은 마치 넉자가 한 글자인 것처럼 경계를 두지 않았고 행간을 넓혀 소밀疏密의 미를 살렸다. 좌·우측 마지막 글자인 ‘처處’자는 전각의 특징 중 하나인 획 줄임으로 표현했고, 좌측 상단의 ‘지至’자는 가로로 연결해 두 글자를 한 글자인 듯 보이게 해 자폭의 균형을 맞추었다.
행행본처行行本處, 지지발처至至發處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햇살 속에서 익어가는 시간, 발효의 기적
8월은 발효의 계절입니다. 찌는 듯 무더운 날씨 가운데 발효는 우리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을 선사합니다. 오늘은 발효가 되어 가는 향기를 맡으며 발효를 이야기해 봅니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음식을 경험…
박성희 /
-
인도 동북부 수해 지역 찾아 구호물품과 보시금 전달
연등글로벌네트워크 회원들은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 프라데시주州 마이뜨리뿌리 지역의 사찰과 마을을 찾아 수해복구를 위한 보시금과 구호물품 등을 전달하고, 봉사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지역은 지난 6월 초…
편집부 /
-
운문종의 법계와 설숭의 유불융합
중국선 이야기 53_ 운문종 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문명을 구가하던 당조唐朝가 멸망하고, 중국은 북방의 오대五代와 남방의 십국十國으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의…
김진무 /
-
마음 돈오가 가능한 이유
인간의 인지능력이 보여주는 가장 현저한 특징은 ‘사유 활동’이다. 차이를 기호(언어)에 담아 분류한 후, 기호로 분류된 차이들을 비교하고 선별하는 기준을 만들며, 선별 기준을 정당화시키는 논리와 이…
박태원 /
-
세상의 주인은 누구인가?
세주世主, 문자 그대로 ‘세상의 주인’이라 불리는 이 명칭은 『화엄경』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근엄한 인상을 준다. 대개는 부처님이나 뛰어난 성자를 떠올리겠지만, 「세주묘엄품」이 내세우는 세주는 이…
보일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