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판화]
목판화 아름다움 보여주는 작품들
페이지 정보
한선학 / 2021 년 4 월 [통권 제96호] / / 작성일21-04-05 10:46 / 조회7,025회 / 댓글0건본문
제7 용이 부처님께 연꽃을 바치다[용향불헌연龍向佛獻蓮·사진 1]
티벳 델게인경원 불타 12홍화도 중 7번째 불화판화로 불타께서 오른손으로 대지를 만지자 지하의 용족龍族이 즉시 천 송이 황금 연꽃을 바쳤는데, 꽃잎은 수레바퀴처럼 크고, 연꽃 송이마다 꽃술 안에 불타 한 분이 단정히 앉아있었다. 천인天人들이 분분히 가장 좋은 보물을 가지고 와서 불타에게 축하를 드렸으며, ‘8종의 상서로운 보물[八吉祥]’은 불타의 신체 각 부분의 순결과 자연을 상징하고, 8종의 상서로운 식물(팔서물八瑞物: 거울[宝鏡], 황단黃丹, 요구르트[酸奶], 장수를 상징하는 띠풀[長壽茅草], 모과木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소라[右旋海螺], 주사朱砂, 겨자芥子로 팔정도를 상징한다)은 불타가 영원히 상서롭기를 축복하였다. 화면의 중앙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래쪽 좌측에 용녀, 마두용왕, 야차가 연꽃을 바치는 장면이 아름답게 판각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용녀들과 대붕大鵬이 공양을 올리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하단 중앙에서 왼쪽으로 금강수 보살이 외도들을 물리치는 장면과 오른쪽에는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설법하시고 제자들이 경청하는 모습이 표현되고 있으며, 하단 왼쪽에는 아라한이 비구들에게 설법하고 있다.

제8 석가모니가 하늘에서 하강하다[석가불종천하강도釋迦佛從天下降圖·사진 2]
이 장면도 우리의 팔상도에는 나타나지 않는 도상으로 석가모니께서 마야 부인이 계신 33중천에 가셨다가 내려오는 장면을 표현하고 있다. 석가모니의 어머니인 마야 부인이 세상을 떠난 뒤에 승천하였으며, 석가모니가 마야 부인을 위해 도리천忉利天에 올라가 설법하였는데, 이 그림은 석가모니가 천상에서 설법한 뒤에 하늘에서 하강하여 인간세상으로 돌아와 불법을 크게 선양하고 중생을 교화하는 광경을 묘사하고 있다. 시종의 동작도 아름답게 표현되었으며, 비스듬히 직선으로 구성된 계단은 하부가 크고 상부가 작게 그려졌으며 아울러 구름무늬가 층층으로 겹쳐진 간격을 이용하여 원근과 높고 낮은 공간적인 거리를 표현하여 상당한 입체감을 나타내고 있다. 보배로운 일산日傘의 방향과 서로 다른 계단의 경사도 및 그 옆의 구부러진 상서로운 구름과 계단 상반부의 꺾어진 구름무늬가 누각 계단의 경사를 그린 선이 단조롭고 고립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게다가 물결이 일렁이는 선을 첨가하여 화면의 조화로운 리듬감을 구성하였다. 화면에 표현된 인물의 우미한 형상과 생동하는 자태 · 옷 주름의 꺾임과 휘날리며 춤추는 표대(飄帶. 양 팔에 하는 넓고 긴 띠) · 물결의 충격, 꽃잎의 다양한 자태 등을 화가의 의도에 따라 각수들이 예리한 조각도를 통해 목판화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들이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햇살 속에서 익어가는 시간, 발효의 기적
8월은 발효의 계절입니다. 찌는 듯 무더운 날씨 가운데 발효는 우리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을 선사합니다. 오늘은 발효가 되어 가는 향기를 맡으며 발효를 이야기해 봅니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음식을 경험…
박성희 /
-
인도 동북부 수해 지역 찾아 구호물품과 보시금 전달
연등글로벌네트워크 회원들은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 프라데시주州 마이뜨리뿌리 지역의 사찰과 마을을 찾아 수해복구를 위한 보시금과 구호물품 등을 전달하고, 봉사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지역은 지난 6월 초…
편집부 /
-
운문종의 법계와 설숭의 유불융합
중국선 이야기 53_ 운문종 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문명을 구가하던 당조唐朝가 멸망하고, 중국은 북방의 오대五代와 남방의 십국十國으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의…
김진무 /
-
마음 돈오가 가능한 이유
인간의 인지능력이 보여주는 가장 현저한 특징은 ‘사유 활동’이다. 차이를 기호(언어)에 담아 분류한 후, 기호로 분류된 차이들을 비교하고 선별하는 기준을 만들며, 선별 기준을 정당화시키는 논리와 이…
박태원 /
-
세상의 주인은 누구인가?
세주世主, 문자 그대로 ‘세상의 주인’이라 불리는 이 명칭은 『화엄경』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근엄한 인상을 준다. 대개는 부처님이나 뛰어난 성자를 떠올리겠지만, 「세주묘엄품」이 내세우는 세주는 이…
보일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