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마당]
성철선사상연구원 소식
페이지 정보
편집부 / 1997 년 12 월 [통권 제8호] / / 작성일20-07-14 15:22 / 조회9,917회 / 댓글0건본문
돈오돈수의 종풍, 성철선사의 가풍을 잇습니다.
돈오돈수의 종풍과 성철선사의 가풍을 계승하고 국내 불교학 발전을 위해 96년 첫발을 내딛은 성철선사상연구원은 1997년에도 다양한 활동들을 벌임으로써 그 취지에 한발 더 다가섰습니다. 98년도에는 보다 집중적으로 선불교를 조망하고 성철선사의 사상과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21세기 불교문화 발전에 초석을 다지는 계기로 삼고자 합니다.
1997년도 사업내용
1. 학술연구비 지원 부분에 관한 내용
● 전임교수 저서 : 총 9편이 응모한 가운데 2편 선정.
- 윤회의 자아와 무아(정승석. 동국대 인도철학과 조교수)
- 西浦小說에 나타난 禪과 觀音신앙(설성경.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전임교수 논문 : 총 25편 붕 5편 선정.
- 비트겐슈타인과 불교철학(이승종. 연세대 철학과 조교수)
- 錢謙益의 紫柏山論 考察(강정만, 서남대 중어중문학과 전임강사)
- 祖堂集 禪問答의 언어특징 연구(박영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시간강사)
- 법화경에 나타난 역사의식 연구(차차석, 동국대 불교학과 시간강사)
- 불교와 노장사상으 비교연구(최일범, 성균관대 한국철학과 교수)
● 선진학자 논문 : 총 18편 중 8편 선정
- 불교사회복지 접근론(권경임)
- 돈점논쟁의 사회과학 방법론적 합의(김재범)
- 석보상절 권13권과 법화경 언해 텍스트 비교분석(정진원)
- 禪修證論의 종교현상학적 이해(김일권)
- 僧肇의 견해가 초기 선종에 미친 영향(김주경)
- 朱子語類를 통해서 본 朱子의 불교 이해(이덕진)
- 외계대상 부정에 관한 일고찰(김치온)
- 균여의 佛學연구(고영섭)
2. 윤독회 지원 부분에 관한 내용
선어록 및 불교 원전을 강독하는 모임의 활성화를 위해 총 18팀 중 8팀(해심밀경윤독회, 동양사회사상연구회, 구사론윤독회, 석보상절윤독회, 입겻연구모임, 中論讀會, 과정철학과 불교, 구결학회)을 선정, 1년간 꾸준히 지원해왔습니다.
3. 춘계 학술회의
1997년 5월 3일에는 성철선사 탄신 86주년을 기념해서 ‘선불교와 해체론 시대의 서구철학’이란 주제로 춘계학술회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철학연구소가 주관하고 본 연구원이 주최한 이날 세미나를 통해 선불교에 대한 청중들의 지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 우리 사회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을 선불교의 시각에서 재정리하고 분석해 보려는 취지에서 개최된 학술회의로서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들로 연구와 토론의 장을 마련해 나가고자 합니다.

4. 백련불교 아카데미
매달 셋째주 토요일에는 신진학자들을 주축으로 한 발표와 토론의 장 ‘백련불교아카데미’를 마련하여 불교학문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였습니다. 발표자와 청중이 묻고 대답하는 가운데 서로 몰랐던 부분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된 이 세미나는, 일방적으로 발표만 하고 궁금증이 있어도 그냥 지나치곤 했던 기존의 방식과는 사뭇 달랐던 것으로 자부합니다.
● 제1회 백련불교 아카데미(1997.5.17.)
- 불교와 도가의 사유방식(최일범 교수. 성균관대 한국철학과)
● 제2회 백련불교 아카데미(1997.6.21.)
- 당대 화엄학자들의 儒道 비판(신규탁 교수, 연세대 철학과)
● 제3회 백련불교 아카데미(1997.10.18.)
- 가피, 구도, 제도(윤원철 교수, 서울대 종교학과)
● 제4회 백련불교 아카데미(1997.11.22.)
- 성리학 형성 과정에 나타나는 불교의 영향(정성희, 성균관대 儒學科 박사과정)
● 제5회 백련불교 아카데미(1997.12.13.)
- 불교의 자비와 페미니즘의 보살핌의 윤리(안옥선, 조선대, 전남대 철학과 강사)
5. 선학강좌
매주 월요일과 격주 금요일에는 각각 ‘선오록 강의’(강사;신규탁 본 연구원 연학실장)와 ‘성철사상 강좌’(강사: 목정배 본 연구원 원장)란 이름으로 선학강좌를 운영해왔습니다. 옛 선사들의 어록들을 읽어 나가는 ‘선어록 강의’와 성철스님 법어집을 교재로한 ‘성철사상 강좌’는 내년에도 변함없이 이어질 것입니다.

6. 백련불교논집 7집 간행
1996년도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생성된 신진학자 논문 중 7편과 자체에서 기획한 원고 1편을 모아 『백련불교논집』 제7집을 간행하였습니다. 이번 논집의 특징이라면 특히 ‘깨달음’을 주제로 한 스님들의 논문이 눈에 띄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선 수행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좋은 만남을 기대해 보시기 바랍니다.

● 깨달음의 현상적 이해 / 박종호 스님(동국대 선학과 강사)
● 깨달음의 근거와 실현의 원리 / 김묘주 스님(동국대 불교학과 강사)
● 화두참구에 있어서 의정돈발법 / 이월호 스님(쌍계사 중강)
● 중국 초기 불경 자료 속에 나타난 백화문법 연구/ 박건영(청주대 중문과 전임강사)
● 백운선사의 선시 연구 / 이종군(부산대 국문과 강사)
● 추사 김정희의 불교시 / 정후수(한성대 국문과 교수)
● 자비의 윤리와 보살핌의 윤리의 비교 윤리학적 고찰 / 안옥선(조선대, 전남대 강사)
● 불교의 중국화 / 신규탁(연세대 철학과 교수)
7. 기타 출판물
1998년도에는 1997년도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 및 저서를 단행본으로 출판할 예정이며, 춘계 학술회의 결과물이 ‘선불교와 해체론 시대의 서구철학’ 역시 출간 예정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불교전파와 바다 상인들의 힘
기원전 1500~기원전 1000년경 쓰인 힌두교와 브라만교의 경전 『리그베다(Rig-Veda)』는 숭앙하는 신을 비롯해 당시 사회상, 천지창조, 철학, 전쟁, 풍속, 의학 등을 두루 다룬다. 베다에…
주강현 /
-
운문삼구, 한 개의 화살로 삼관을 모두 뚫다
중국선 이야기 49_ 운문종 ❹ 운문종을 창립한 문언은 이미 조사선에서 철저하게 논증된 당하즉시當下卽是와 본래현성本來現成의 입장에서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앞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