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및 특별서평]
여행에서 길어 올린 선비 정신
페이지 정보
고경 필자 / 2020 년 8 월 [통권 제88호] / / 작성일20-08-28 11:31 / 조회10,422회 / 댓글0건본문
이상길(전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한계에 봉착한 듯 한 물질적인 풍요와 혐오에 가까운 극심한 세대갈등 혹은 무관심, 공정과 불평등의 해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그럴수록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거울삼아,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래는 아직 개척되지 않았습니다. 과거의 좋은 경험들을 소환하여 원동력으로 삼아, 기계적인 해결이 아닌 인간 본질을 추구하려는 궁극적인 갈망을 작동시켜야합니다. 과거 없는 미래는 있을 수 없습니다. 과거에서 꾸준하게 성찰과 반성을 얻어야만 미래도 창조적으로 열린다고 생각합니다. 그야말로 ‘오래된 미래’의 탐구입니다.
문화탐험가를 자처하는 제가 오랫동안 탐구한 책 『선비, 그 위대한 뿌리』(선善출판사, 사진)는 그 결과물입니다. 이 책『선비, 그 위대한 뿌리』에는 고향인 고령과 성주, 대구광역시의 문화재들과 경주와 영천, 달성, 안동까지 비교적 지근거리에 있는 명소들을 집중적으로 다뤄봤습니다.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유훈이 살아 넘치는 고령의 개실마을, 포은 정몽주 선생의 기개가 서린 영천의 임고서원, 퇴계 이황 선생의 학문적 근거를 살필 수 있는 도산서원과 청량산 기행 등에서 길어 올린 선비정신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습니다. 한훤당 김굉필 선생이 배향된 도동서원과 회재 이언적 선생의 독락당과 옥산서원, 달성의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와 삼가헌三可軒, 대구 둔산동 경주慶州 최씨崔氏 종택宗宅 탐방에서는 우리 것을 보존하는 어려움, 보존의 당위성, 그 보존으로 인한 삶의 품격과 정신적 여유를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대가야의 유적이 남아 있는 박물관에서 본 ‘말머리가리개’는 역사적 상상력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를 세심하게 느꼈습니다. 대구미술관에서 전시한 근·현대 화가들의 그림에 대한 저의 감상 또한 함께 이 책에 담아 보았습니다. 천재화가 이인성, 호쾌한 필치의 이쾌대, 인간의 화엄을 그린 박생광, 그림에 대한 안목은 전문적인 평론가에 미치지는 못하더라도 나름의 해석을 해 보았습니다. 대구의 가장 대표적인 인문화의 대가 석재 서병오 삶을 조명하면서 인간을 향한 끊임없는 탐구 자세를, 묵향 가득한 옛글을 읽음과 동시에 그의 학술적 소양을 읽어낼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단순한 기행문, 답사기가 아닙니다. 생각하는 여행, 살아 움직이는 답사, 기억의 반추와 삶을 전망하는 여행과 답사의 전형을 잘 제시해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보이는 것만 본 것이 아니라, 사물을 꿰뚫어 보는 지혜로운 눈으로, 숨어 있던 역사와 전설도 짚어내려고 노력했습니다. 여유를 가지고 일독해 주셨으면 합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