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1만배, 3천배, 봉암사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20 년 2 월 [통권 제82호] / / 작성일20-06-12 15:15 / 조회7,788회 / 댓글0건본문
2019년 12월31일 새벽 3시부터 2020년 1월1일 새벽 3시까지 해인사 백련암에서 ‘새해맞이 1만배 기도법회’가 거행됐다. 차가운 날씨에도 90여명의 신도들이 참석해 여법하게 마무리됐으며(30-36쪽), 1만배 기도법회 참석자들을 돕기 위해 몇몇 신도들은 반찬거리와 먹거리를 준비했다(37쪽). 2020년 1월1일 고심정사 불교대학총동문회 회원들도 백련암에서 삼천배 기도를 올렸다(38-41쪽). 2020년 1월6일 봉암사에서 거행된 적명 스님 2재에 원택 스님과 부산 고심정사 신도들이 참석해 적명 스님을 추모하고, 각령覺靈 전에 꽃을 올린 뒤, 용추계곡에 있는 마애불을 참배했다(42-47쪽). 적명 스님 2재 및 봉암사 마애불 주변 사진은 고심정사 자상인 불자가 촬영한 것이다. 한편, ‘2019년 퇴옹학술상 시상식’이 2019년 12월21일 부산 고심정사 법당에서 거행됐다(47쪽, 맨 위). 김명우(동아대), 김희(울산대) 박사가 수상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유심’과 ‘님의 침묵’ 사이
서정주의 시에 깃들어 있는 불교가 ‘신라’라는 장소를 바탕으로 하는 불교, 『삼국유사』의 설화적 세계를 상상의 기반으로 삼는 불교라면, 한용운의 시에 담긴 불교는 ‘형이상학’이나 ‘초월’ 혹은 ‘공…
김춘식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