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손가락 사이]
진짜 내 글씨 한 줄
페이지 정보
최재목 / 2019 년 8 월 [통권 제76호] / / 작성일20-05-29 10:31 / 조회6,717회 / 댓글0건본문
시·그림 최재목 | 시인·영남대 철학과 교수
진짜 내 글씨 한 줄
진짜 내 글씨 한 줄
삐뚤삐뚤 써댄다
해우소 변기에는
죽을 힘 다해 피고
온 생명 다 바쳐서 지는
山, 山, 조각의 문자가
더러더러 있다
뜨뜻하게 허공을 머물다 가는,
무명풍
그런 헛소리
부모미생이전의 문자를
누구나 여기 오면
한 획 한 획, 애써 꺾어댄다
진짜 목숨 걸고 새긴 글씨
그런 맹세는
내가 눈 똥오줌 속에서만
헛소리처럼
들어있는 것이다

잘 모르겠다
흙을 파서 고운 이랑을 만들고
들깨 씨를 묻었다
이만하면 올해도 한 밭 가득 심으리라 확신하며
산을 내려왔다
그런데, 참 이상하다
열흘이 지나도 한 달을 다 되어도
싹은커녕 잡초만 무성했다
아무래도 새들이 다 먹어치운 듯 했다
허탈하여 며칠 밭가를 맴돌며
섭섭한 마음으로 새들이 날아간 하늘만 쳐다보았다
이 맘쯤 푸른 들깨 싹들이 구름 고랑을 따라
푸릇푸릇 자라나겠지…,
언젠가는 들깨 알들이 주룩 주룩 지상에 쏟아지겠지…,
새들이 키울 하늘의 밭 모습이 궁금해져, 나는
밤마다 하늘로 올라갔다
거기, 들깨 싹들은 보이지 않고
내가 버려둔 지상의 빈 밭고랑만 즐비했다
꿈이 더 괴로워, 할 수 없이
시장에 가 들깨 모종을 사서
장마가 시작된 날 다 심어 놓고 내려왔다
그동안 새들이 나를 얼마나 놀려댔을까
한동안 얼굴을 가리고 고개를 푹 숙인 채
하늘을 쳐다보지 않았다
싹터오지 않는 땅을 무작정 믿고 기다렸던 내가
무엇 때문에 그토록 정직했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그러면 안 되는 것일까
그것도 잘 모르겠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불교전파와 바다 상인들의 힘
기원전 1500~기원전 1000년경 쓰인 힌두교와 브라만교의 경전 『리그베다(Rig-Veda)』는 숭앙하는 신을 비롯해 당시 사회상, 천지창조, 철학, 전쟁, 풍속, 의학 등을 두루 다룬다. 베다에…
주강현 /
-
운문삼구, 한 개의 화살로 삼관을 모두 뚫다
중국선 이야기 49_ 운문종 ❹ 운문종을 창립한 문언은 이미 조사선에서 철저하게 논증된 당하즉시當下卽是와 본래현성本來現成의 입장에서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앞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진무 /
-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유심’과 ‘님의 침묵’ 사이
서정주의 시에 깃들어 있는 불교가 ‘신라’라는 장소를 바탕으로 하는 불교, 『삼국유사』의 설화적 세계를 상상의 기반으로 삼는 불교라면, 한용운의 시에 담긴 불교는 ‘형이상학’이나 ‘초월’ 혹은 ‘공…
김춘식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