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1만배, 3천배, 봉암사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20 년 2 월 [통권 제82호] / / 작성일20-06-12 15:15 / 조회9,189회 / 댓글0건본문
2019년 12월31일 새벽 3시부터 2020년 1월1일 새벽 3시까지 해인사 백련암에서 ‘새해맞이 1만배 기도법회’가 거행됐다. 차가운 날씨에도 90여명의 신도들이 참석해 여법하게 마무리됐으며(30-36쪽), 1만배 기도법회 참석자들을 돕기 위해 몇몇 신도들은 반찬거리와 먹거리를 준비했다(37쪽). 2020년 1월1일 고심정사 불교대학총동문회 회원들도 백련암에서 삼천배 기도를 올렸다(38-41쪽). 2020년 1월6일 봉암사에서 거행된 적명 스님 2재에 원택 스님과 부산 고심정사 신도들이 참석해 적명 스님을 추모하고, 각령覺靈 전에 꽃을 올린 뒤, 용추계곡에 있는 마애불을 참배했다(42-47쪽). 적명 스님 2재 및 봉암사 마애불 주변 사진은 고심정사 자상인 불자가 촬영한 것이다. 한편, ‘2019년 퇴옹학술상 시상식’이 2019년 12월21일 부산 고심정사 법당에서 거행됐다(47쪽, 맨 위). 김명우(동아대), 김희(울산대) 박사가 수상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선과 차의 결합으로 탄생한 선원차
거연심우소요 60_ 대흥사 ❽ 우리나라 차문화를 이해하는 데는 일본 차 문화의 역사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식민지 시기에 일본식 다도가 행해진 적이 있고, 요즘에는 일본차도 많이 마시고, …
정종섭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