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손가락 사이]
뒤도 안 돌아보고 내렸다
페이지 정보
최재목 / 2019 년 9 월 [통권 제77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7,344회 / 댓글0건본문
최재목 | 시인 · 영남대 철학과 교수
창가의 봄은 자꾸 흔들렸다
암스테르담에서 체코의 프라하로 가는 5월
열차엔 붓다도 함께 했다
아무 말씀도 없이, 물 한 모금도 안 드시고,
반쯤 뜬 눈으로,
시시각각 달라지는 바깥 풍경에
눈을 떼지 않았다
그런 무상無常 앞에, 햇살이 찾아들고,
드디어 종착역 표시판이 나타났다
“어디 가세요? 바쁘실 텐데…”
물어도 대답이 없다
나는 혼자 머쓱하여 포켓용 사전 뒷면에다 펜을 대고
가만히 흔들림 속에 생멸하는 내 마음을 따라 나섰다
선線은 꾸불꾸불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가르고
말해야 할 것과 말하지 말아야 할 것을 나눈다
오로지 내가 여기 있음을
나더러 말 하라 한다.
“나처럼…눈 떼지 마라, 무상 앞에서…. 너도 곧 종점이다”
붓다는 눈 뜬 채 열반에 드셨다
나는 차 속에 붓다를 남겨둔 채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네팔 유일의 자따까 성지 나모붓다 사리탑
카트만두에서 남동쪽으로 52km 떨어진 바그마띠(Bagmati)주의 까브레빠란 삼거리(Kavrepalan-Chowk)에 위치한 ‘나모붓다탑(Namo Buddha Stupa)’은 붓다의 진신사리를 모…
김규현 /
-
햇살 속에서 익어가는 시간, 발효의 기적
8월은 발효의 계절입니다. 찌는 듯 무더운 날씨 가운데 발효는 우리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을 선사합니다. 오늘은 발효가 되어 가는 향기를 맡으며 발효를 이야기해 봅니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음식을 경험…
박성희 /
-
초의선사의 다법과 육우의 병차 만들기
거연심우소요 58_ 대흥사 ❻ 초의선사의 다법을 보면, 찻잎을 따서 뜨거운 솥에 덖어서 밀실에서 건조시킨 다음, 이를 잣나무로 만든 틀에 넣어 일정한 형태로 찍어내고 대나무 껍질…
정종섭 /
-
운문종의 법계와 설숭의 유불융합
중국선 이야기 53_ 운문종 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문명을 구가하던 당조唐朝가 멸망하고, 중국은 북방의 오대五代와 남방의 십국十國으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의…
김진무 /
-
인도 동북부 수해 지역 찾아 구호물품과 보시금 전달
연등글로벌네트워크 회원들은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 프라데시주州 마이뜨리뿌리 지역의 사찰과 마을을 찾아 수해복구를 위한 보시금과 구호물품 등을 전달하고, 봉사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지역은 지난 6월 초…
편집부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