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손가락 사이]
진짜 내 글씨 한 줄
페이지 정보
최재목 / 2019 년 8 월 [통권 제76호] / / 작성일20-05-29 10:31 / 조회8,040회 / 댓글0건본문
시·그림 최재목 | 시인·영남대 철학과 교수
진짜 내 글씨 한 줄
진짜 내 글씨 한 줄
삐뚤삐뚤 써댄다
해우소 변기에는
죽을 힘 다해 피고
온 생명 다 바쳐서 지는
山, 山, 조각의 문자가
더러더러 있다
뜨뜻하게 허공을 머물다 가는,
무명풍
그런 헛소리
부모미생이전의 문자를
누구나 여기 오면
한 획 한 획, 애써 꺾어댄다
진짜 목숨 걸고 새긴 글씨
그런 맹세는
내가 눈 똥오줌 속에서만
헛소리처럼
들어있는 것이다

잘 모르겠다
흙을 파서 고운 이랑을 만들고
들깨 씨를 묻었다
이만하면 올해도 한 밭 가득 심으리라 확신하며
산을 내려왔다
그런데, 참 이상하다
열흘이 지나도 한 달을 다 되어도
싹은커녕 잡초만 무성했다
아무래도 새들이 다 먹어치운 듯 했다
허탈하여 며칠 밭가를 맴돌며
섭섭한 마음으로 새들이 날아간 하늘만 쳐다보았다
이 맘쯤 푸른 들깨 싹들이 구름 고랑을 따라
푸릇푸릇 자라나겠지…,
언젠가는 들깨 알들이 주룩 주룩 지상에 쏟아지겠지…,
새들이 키울 하늘의 밭 모습이 궁금해져, 나는
밤마다 하늘로 올라갔다
거기, 들깨 싹들은 보이지 않고
내가 버려둔 지상의 빈 밭고랑만 즐비했다
꿈이 더 괴로워, 할 수 없이
시장에 가 들깨 모종을 사서
장마가 시작된 날 다 심어 놓고 내려왔다
그동안 새들이 나를 얼마나 놀려댔을까
한동안 얼굴을 가리고 고개를 푹 숙인 채
하늘을 쳐다보지 않았다
싹터오지 않는 땅을 무작정 믿고 기다렸던 내가
무엇 때문에 그토록 정직했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그러면 안 되는 것일까
그것도 잘 모르겠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선과 차의 결합으로 탄생한 선원차
거연심우소요 60_ 대흥사 ❽ 우리나라 차문화를 이해하는 데는 일본 차 문화의 역사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식민지 시기에 일본식 다도가 행해진 적이 있고, 요즘에는 일본차도 많이 마시고, …
정종섭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