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손가락 사이]
하염없이, 산길을 헤매다
페이지 정보
최재목 / 2019 년 7 월 [통권 제75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7,408회 / 댓글0건본문
하염없이, 산길을 헤매다
부처님 오신 날
나도 따라 왔다
내 버릇도, 붉은 입술도, 자식들의 고단한 인생도
함께 따라왔다
부처님 오신 날
무명無明도 함께 따라왔다
그 그림자도 쓸쓸히 따라오며
피었다 시들고,
뼈아픈 고통의 이파리가 푸르러
부처님을 묻어버렸다
꽃처럼 가신 부처님을, 꽃처럼 오리라 믿고
강물처럼 떠난 부처님을, 강물처럼 오리라 믿는
바보 같은 인생이
하루 종일 피었다 지는데,
아무도 오지 않는 적막 속으로
거미줄이 늘고, 거짓말이 먼지처럼 쌓였다
그 많던 전쟁도, 고통도, 슬픔도
하나 구원하지 못하는
구름과 바람과 쓸쓸함을 쳐다만 보고 있다
아, 부처님은 애당초
그렇게 오셨다
그렇게 가셨다, 하니
하루 종일
그렇게 오실 것만 생각하고, 그렇게 가실 것을 알지 못해
여래如來와 여거如去
두 분의 부처를 업고
나는, 하염없이 산길을 헤매고 있었다
이제 그만 싸우자
흔들리다 결국 금이 가버린 윗니를 뽑고 와서,
우울하게 누워있었다
하나 둘, 비어가는 치아가 좀 서러웠다
어쩌면 내 삶도, 그렇게 차츰 이빨이 빠져나가
가벼워지고 있었다
아는 분한테 전화가 걸려 와서, “이를 뽑고 누워있다”고 하니,
대뜸 하는 소리가 “누구하고 싸웠습니까? 이제 세상과 너무 싸우지 마세요”라고 한다
“예, 자중하겠습니다”라는 말만 하고,
부끄러워서 얼른 끊었다
생각해보니, 참 오랜 세월 세상과 멱살 잡고 싸워온 게, 분명했다
그게 누군지도 모르고, 왜 그런 줄도 모르면서…
뺨을 몇 대 더 맞고 나면, 아랫니마저 빠질게 끔찍하여
이제 그만 싸워야겠다고 생각했다
풀꽃에 내 인생을 묻다
지난 달 네 고랑, 오늘 다섯 고랑
삽질, 괭이질로 천천히 흙을 파서 일굽니다
아직도 다섯 고랑이 더 남았습니다만,
힘에 부쳐 오늘은 고만 할랍니다
팔공산 한 구석에 햇살이 따뜻해
밭두렁에 퍼질러 앉아 쉽니다
잠시 바닥을 처다 보니
아 글쎄, 여기저기 온갖 자잘한 꽃들로 가득한데요,
세상이 송이송이 이렇게 많이도 피어나는 줄을 몰랐습니다
나는 내 인생도 구석구석 좀 그랬으면 했습니다
이름 없는 곳에서, 이름 없이 흔들리는 잡초도
가장 아름다운 한 때가 있을 것 같아,
나는 그만 그것을 꺾어보았습니다
열 장의 흰 이파리,
보일 듯 말 듯 맑게 서로 달라붙은 조각조각이
하나의 원圓이 된 꽃은, 세상을 그렇게 온통
원으로 장식해댑니다
항상 그렇게 가장 아름다울 때도 모르면서,
피는 까닭도 모르면서
흔들리는 흰 자태만을 남기고
세상 그 어느 것과 눈 맞춤도 없이
모두 저 언덕으로, 피안으로 떠나갑니다
그곳이 어디인줄도 모르고, 가는 곳도 모르고
모두 흔들리며 떠나갑니다
밭두렁에 쪼그리고 앉아
오늘은 풀꽃에게 내 인생을 묻습니다
아니 차라리 내 인생을,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선과 차의 결합으로 탄생한 선원차
거연심우소요 60_ 대흥사 ❽ 우리나라 차문화를 이해하는 데는 일본 차 문화의 역사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식민지 시기에 일본식 다도가 행해진 적이 있고, 요즘에는 일본차도 많이 마시고, …
정종섭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