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 주인공의 삶]
봉선사 조실스님의 작명 센스
페이지 정보
이인혜 / 2015 년 8 월 [통권 제28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5,814회 / 댓글0건본문
봉선사에 다녀왔다. 청록의 광릉 숲을 지나 봉선사 일주문을 들어서서 몇 발짝 옮기다 보면 처음 만나는 당우가 염불원이다. 염불원의 주인이 기거하는 방 입구에는 ‘猶在堂’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오히려 유(猶), 있을 재(在). 허사(虛辭) 두 글자로 이루어진 이름이다. 현판을 처음 보았을 때, 한문으로 밥 먹고 사는 실력으로 해석을 해보려 했으나 ‘아직 있다’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었다. 방 주인에게 물었더니 조실스님이 지어주신 이름이고, 『법화경』 “猶在本處”에서 두 글자를 따왔다고 한다. 검색을 해보니 「신해품」에서 집 나갔던 아들이 돌아와 아버지와 만나는 그 유명한 비유에 ‘유재본처’가 있었다.
어려서 아버지를 버리고 타국으로 떠난 아들은 옷과 밥을 위해 품팔이로 고생하면서 여기저기 떠돌다가 우연히 본국을 향하게 된다. 한편 아들의 생사를 모르는 아버지는 노쇠해가는 자신의 몸을 보면서, 남아 있는 많은 재물들을 생각하면서 애타게 아들을 찾았으나 찾지 못하던 중 극적으로 아들을 발견한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를 몰라보고 오히려 번쩍한 위세에 겁을 집어먹고 놀라서 기절한 뒤에 깨어나서 도망친다. 아버지는 아들을 잡지 않는다.
아들은 다시 가난한 동네에 가서 옷과 밥을 위해 거름치는 일을 하며 고단하게 살고 있었다. 소식을 들은 아버지는 그를 데려오기 위해 작전을 짠다. 집사 두 사람을 초췌한 형색으로 꾸며 아들이 일하는 곳에 일꾼으로 보낸다. 감쪽같이 위장취업을 한 집사가 품삯을 두 배로 주는 일자리가 있다고 유인하자 구미가 당긴 아들이 아버지의 집으로 온다. 일단 아들을 안심을 시키기 위해 아버지는 아직 신분을 밝히지 않고 그저 편히 있으라 하면서, 이름을 다시 지어주고 아들과 맞먹는 특별대우를 해주었다.
아들은 이런 행운을 만난 것이 기쁘긴 했으나 여전히 자신을 고용살이나 하는 천한 사람이라고 여겼다. 무려 이십년 동안 거름을 치면서 그 집에 살고 나서야 겨우 서로 간에 믿음이 생겼다. 그래서 아버지 처소에 어려움 없이 드나들게 되었는데, 그러면서도 자신은 아직 본래 있던 처소에 있었다.(후략)
爾時 窮子 雖欣此遇 猶故自謂客作賤人 由是之故 於
二十年中 常令除糞 過是已後 心相體信 入出無難 然其
所止 猶在本處
이 대목에 ‘유재’가 나온다. 좋은 거처를 누릴 자격이 있는 아들이 자기가 누군지 몰라 아직 행랑채에 머물고 있다는 뜻이다. 아들은 소승법에 머물러 있는 제자를 비유한다.
이 비유를 읽고 나서 유재당을 보니, 거기 사는 사람과 건물의 위치와 이름 지어준 사람과 이름의 의미가 잘 어울린다. 게다가 ‘본처’같이 의미를 갖는 글자가 아니라, 허사 두자만 따서 그 구구절절한 이야기를 대표한 운용의 묘가 기막히다. 이름을 지어준 사람은 평생 경을 읽고 번역하신 월운 스님이고 유재당 주인은 범패의 명인 인묵 스님이다. 봉선사는 옛날부터 국가지정 교종본찰이고, 지금도 교학을 하는 절이다.
그곳에 소리하는 제자 하나가 한동안 다른 절 주지를 맡아 떠나 살다가 몇 년 전에 다시 들어와 절 입구 행랑채 쯤 되는 자리에 거처한다니, 집 나갔다 돌아온 아들을 어떻게든 유인하려는 아버지의 사랑과 안타까움이 묻어나는 작명이라고 혼자서 해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번에 가서 조실스님을 뵈었다. 스님이 닳아질까 두려워 올해 들어 몇 번 찾아뵙는 중인데, 이런저런 질문과 대답 속에 나를 골탕 먹이시는 걸 보니 아직(猶) 건재(在)하시다. 유재당 이야기를 꺼내며 이름 지은 뜻을 물었더니 내 해석과는 다른, 뜻밖의 대답을 하셨다. “거, 왜, 있잖아. 자장율사 예참에 나오는 거.” 하시면서 단숨에 예참문을 줄줄 외우신다. 자장 율사가 지은 게송이라고는 하는데 옛 전거는 정확하지 않고 『석문의범(釋門儀範)』에 실려 있다고 가르쳐주신다. 그러면서 자장 율사가 중국 가서 어느 탑에 모셔진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보고 감격하여 ‘진신사리금유재’라고 했는데, 거기서 ‘유재’ 두 자를 따왔다고 하신다. “아니 그럼, 『법화경』은요?” “아, 그건 그거고.” 아마 두 마음을 다 담아서 중의법을 쓰신 것 같다.
만대의 전륜왕 삼계의 주인
쌍림에서 가신 지 몇 천 년인가
진신사리 지금도 여기 계시어
뭇 중생 예배가 끊이지 않네.
萬代輪王三界主 雙林示滅幾千秋
眞身舍利今猶在 普使群生禮不休
이 해석을 따르자면, 유재당은 상좌가 아직 그 자리에 있어줘서 감격스럽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 된다. 그러고 보니 그 건물이 절 입구에 수문장처럼 듬직이 서 있다.
조실을 나오는 길에 염불원에 들르니 유재당 주인이 친정오빠처럼 반갑게 맞아주신다. 방바닥 한 편에 프린트된 문서들이 쫙 펼쳐져 있다. 의례에 관계된 문헌들을 다시 보고 있다고 한다. 몇 장 읽어보니 아름다운 문장들로 짜여 있다. 이런 문장들을 읽고 그것을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니 좀 부럽다.
유재당 주인의 아버지는 서도 범패를 전수하신 인간문화재 일응 스님이시다. 아버지에게 생물학적 유전자를 물려받고 스승에게 교학적 유전자를 물려받아서 그런지, 인묵 스님의 염불은 소리가 좋고 내용도 잘 전달된다. 범음을 펼치기에 최적화된 몸이다. 유재당 염불소리가 유재하기를 바라면서, 능엄도량 다경실에 스승님이 아직 계심에 감사하면서 절을 나왔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운문삼구, 한 개의 화살로 삼관을 모두 뚫다
중국선 이야기 49_ 운문종 ❹ 운문종을 창립한 문언은 이미 조사선에서 철저하게 논증된 당하즉시當下卽是와 본래현성本來現成의 입장에서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앞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진무 /
-
불교전파와 바다 상인들의 힘
기원전 1500~기원전 1000년경 쓰인 힌두교와 브라만교의 경전 『리그베다(Rig-Veda)』는 숭앙하는 신을 비롯해 당시 사회상, 천지창조, 철학, 전쟁, 풍속, 의학 등을 두루 다룬다. 베다에…
주강현 /
-
불립문자와 언하대오의 발원지 붓다
“도반들이여, 마치 목재와 덩굴과 진흙과 짚으로 허공을 덮어서 ‘집’이란 명칭이 생기는 것처럼, 그와 같이 뼈와 신경과 살과 피부로 허공을 덮어서 ‘몸[色]’이라는 명칭이 생깁니다.”(주1) - 『…
박태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