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읽는 성철 스님]
수행의 발자취 - 도봉산 망월사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14 년 8 월 [통권 제16호] / / 작성일20-07-30 15:50 / 조회8,991회 / 댓글0건본문
서울 근교 도봉산의 자운봉과 만장봉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더없는 천하절경인 망월사는 신라 선덕여왕 8년(639년)에 창건된 사찰로써 당시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이곳에서 바라보며 삼국통일과 국운융창을 기원하였다는 설이 전해진다.
어느 때인가, 성철 스님은 해제기간 중 이곳 망월사에서 하룻밤을 지내게 되었다. 그날 밤도 여느 때와 다름없이 장좌불와로 밤을 지새는데, 마침 망월사에 있던 춘성 스님이,
“철 수좌가 소문대로 눕지도 않고 졸지도 않으면서 수행하고 있는가?”
라고 의심한 나머지 방문에 침구멍을 뚫고 밤새 지켜보았다가 과연 소문대로 좌복 위에서 꼼짝도 않고 정진하는 모습을 보고 크게 감탄하며, 환갑이 다 된 나이로 장좌불와 수행을 했다는 이야기가 널리 회자되기도 한 곳이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김천 송학사 주호스님의 사찰음식
경전의 꽃이라 불리는 『화엄경』을 수행 속 화두로 삼아 정진하고 있는 도량이 있습니다. 바로 김천 지례마을의 대휴사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비구니 도량으로 경북도 유형문화재 제492호인 목조보살 좌상…
박성희 /
-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성을 실현할 때
생명이 약동하는 봄의 기운이 꿈틀대기 시작하는 음력 2월 19일은 성철 종정예하의 탄신일입니다. 큰스님께서 홀연히 우리 곁을 떠나시고 난 다음 해, 큰스님 탄신일을 맞이하여 자리를 함께한 사형사제 …
원택스님 /
-
티베트 불교의 학문적 고향 비크라마실라 사원
인도불교의 황금기에 빛났던 ‘마하비하라(Maha-Viharas)’, 즉 종합수도원 중에서 불교사적으로 특히 3개 사원을 중요한 곳으로 꼽는다. 물론 나란다(Nalanda)를 비롯하여 비크라마실라 그…
김규현 /
-
갈등 해결과 전쟁 방지를 위한 불교적 해법
이 순간에도 세상의 어디에선가는 크고 작은 다툼과 폭력이 일어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반인륜적인 잔학행위와 문명파괴 행위가 끊임없이 자행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무엇보다도 불살생계不殺生戒를 강조하…
허남결 /
-
불교의 이집트 전파를 보여주는 아프리카 불상
인도와 아프리카의 교섭은 역사적으로 가장 덜 연구된 영역이다. 아프리카의 인도양 창구는 홍해 주변이었다. 분명히 인도양의 유수의 고대항구는 아프리카, 특히 홍해를 통하여 이집트와 교류하고 있었다. …
주강현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