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 주인공의 삶]
간절한 마음
페이지 정보
이인혜 / 2014 년 1 월 [통권 제9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7,967회 / 댓글0건본문
길에서 엄마의 치맛자락을 붙들고 앙앙 우는 아이를 보면 ‘저 아이는 뭐가 저렇게 간절한가?’하고 한 번 더 쳐다보게 된다. 살면서 무엇에도 간절함이 없다면 아마도 팔자 좋은 사람일 것이다. 간절한 소망은 대개 결핍에서 오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갖지 못한 것을 갖기 위해, 되지 못한 것이 되기 위해 간절한 소망을 품고 평생을 노력한다. 바라던 것이 이루어지면 잠시 그것을 누리다가 이내 다른 것, 혹은 더 센 것을 찾는다. 이렇게 계속되는 허기 속에서 살 수밖에 없는 존재가 중생이다.
허기와 채움 사이를 끝없이 왕복하는 데 염증을 느끼고 떠나는 것이 출가이다. 불교를 염세적인 종교로 보는 시각이 그래서 일면 타당하다. 출가자는 이런 지긋지긋한 삶을 청산하겠다는 소망에 인생을 걸고 도를 향해 출발한다. 도 닦는 데 인생을 건다는 건, 일종의 투기(投機)를 하는 셈이다. 투기에는 ‘자신을 던진다’는 뜻과 ‘큰 이익을 노리고 투자를 한다’는 뜻과 ‘스승과 제자의 마음이 일치한다’는 뜻이 있는데 『전등록』을 읽어보면 선사들은 대개 뛰어난 투기꾼들이다.
인생을 걸고 자신을 던질 수 있으려면 그 소망이 크고 간절해야 할 것이다. 간절한 마음이 무엇인가를 성취하는 데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선사들 중에 이 점을 매우 강조한 분이 고봉(高峰) 화상이다. 『선요』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화두를 들고 참선하는 일을 논하자면 무엇보다도 당사자에게 간절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간절한 마음이 있으면 의심이 일어난다. 의심이 일어나면 … 한 생각도 생겨나지 않아서 앞 찰나, 뒤 찰나가 끊어진다. 이것이 염(念)이다. 이 염에 간절하지 않으면 참된 의심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면 아무리 방석이 뚫어질 만큼 앉아있어도 한낮에 삼경(三更) 종이 울릴 것이다.
고봉 화상은 끝장을 보는 성격이었던 것 같다. 자신이 살던 절에서 3년 기한을 정해놓고 화두를 타파하기 전에는 죽어도 산문 밖을 나가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그것을 사관(死關)이라 한다. 죽기를 각오한 간절함을 몸소 겪었기에 납자들에게 위와 같은 조언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절절한 각오에도 불구하고 고봉 화상의 수행이력은 평탄치가 않았다. 스무 살부터 참선을 시작해 이 화두에서 저 화두로 몇 차례 화두를 바꿔 들었다. ‘태어날 때는 어디서 왔으며 죽을 때는 어디로 가는가?’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는데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는가?’ 등의 화두를 붙들고 씨름했지만 의심이 제대로 붙지 않아서 혼침과 산란에 시달렸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스승에게도 늘 시달렸다. 처음 만나 법을 물었더니 스승이 주먹을 한 방 날리고 문 밖으로 쫒아냈다. 매일같이 공부를 점검받기 위해 찾아뵈면 “오늘 공부는 어떤가?” 다그쳐 묻고, 문에 들어가자마자 “누가 너에게 이 시체를 끌고 오게 했느냐?”라면서 주먹을 날리고 쫒아냈다고 한다. 덕분에 그는 “스승의 이런 다그침에 쫒기다 보니 근처까지 갔다.”고 술회한다. 선가의 단련은 ‘힐링’이 아니라 ‘킬링’에 있나 보다.
근처까지 갔다는 것은 공부에 좀 진척이 있었다는 뜻이다. 공부가 좀 되는 김에 끝을 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뒤로 부모님한테 갔다가 짐을 빼앗기고 붙잡히기도 하고 결제일이 지나 선방에 들어가지 못하기도 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른 어느 날 밤 꿈에 ‘만법귀일’ 화두가 떠올랐고 그 뒤로는 화두와 한 덩이가 되었다.
이 상태를 유지하며 지내던 어느 날 오조 화상의 탑에 절을 하다가 고개를 들었는데 초상화에 적힌 구절이 눈에 들어왔다. “백년 삼만 육십일, 반복하는 이것이 바로 이놈이로다.” 이 구절을 보는 순간 “누가 너에게 이 시체를 끌고 오게 했느냐?”는 화두가 타파되었다. 그 순간을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듯 했다고 표현하였다. 송장이 살아나 주인공이 되는 순간이다. 화두는 이렇게 생각지 않게, 우연한 기회에 타파되는 것인가 보다. 고봉 화상만 그런 게 아니고 많은 선사들이 그렇다. 향엄 스님이 대나무에 돌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깨달았듯이.
향엄도 위산에게 “엄마 뱃속에서 나오기 전, 아직 동서도 분간 못하던 때 너의 모습은 어땠는지 말해보아라.”라는 질문을 받고 당황했었다. 처음에는 대답도 못했다. 얼마 후 이런저런 궁리 끝에 자신의 견해를 몇 차례 고해바쳤으나 위산은 그 어느 것도 인정하지 않았다. 향엄이 제발 말씀 좀 해달라고 졸랐으나 위산은 매몰차게 거절했다. 향엄은 위산에게 하직을 고하고 남양으로 가서 혜충 국사의 탑에 머물렀다. ‘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소식을 들고 끙끙거리던 어느 날 풀을 베다가 밭에 있던 기와 조각을 던졌는데 그것이 대나무에 부딪히는 소리를 듣고 깨달았다. 그리고는 위산을 향해 절을 했다. 그때 매몰차게 안 알려 준 스승의 자비가 부모님 은혜만큼 크다면서. 선가의 자비는 역시 힐링 보다는 킬링에 있다.
고봉 화상은 화두 들고 참선하는 사람에게 세 가지 마음이 중요하다고 한다. 신심과 의심과 분심 중에 그 중에 제일은 의심인데, 그것은 간절함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향엄에게도 고봉에게도 간절한 마음이 있었기에 그 힘으로 난행고행을 견딜 수 있었을 것이다. 고로 수행자에게는 간절함이 곧 근기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무엇이 너의 본래면목이냐
오래전 이런저런 일로 서울을 오르내릴 때, 조계사 길 건너 인사동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한 이층집 벽면에 벽을 가득히 타고 올라간 꽃줄기에 주황색 꽃잎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장관을 이루고 있었는데, …
원택스님 /
-
법안문익의 생애와 일체현성一切見成의 개오
중국선 이야기 54_ 법안종 ❶ 중국은 당조唐朝가 망한 이후 북방에서는 오대五代가 명멸하고, 남방에서는 십국十國이 병립하는 오대십국의 분열기에 들어서게 되었고, 이 시기에 남방에…
김진무 /
-
검선일여劍禪一如의 주창자 다쿠앙 소호
일본선 이야기 21 일본 역사의 특이점은 1192년 가마쿠라 막부로부터 1868년 메이지 혁명에 이르기까지 무사의 통치가 장기간 이어졌다는 점이다. 왕이 존재함에도 …
원영상 /
-
붓다, 빛으로 말하다
밤하늘 남쪽 깊은 은하수 속, 용골자리 성운은 거대한 빛의 요람처럼 숨 쉬고 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적외선 눈은 그 안에서 막 태어난 별들의 울음과 죽음을 준비하는 거대한 별의 고요한 숨을 …
보일스님 /
-
‘마음 돈오’와 혜능의 돈오견성 법문
보리달마菩提達磨는 인도에서 건너와 중국에 선법禪法을 전한 초조로 알려져 있다. 이후 중국 선종은 『능가경』에 의거하는 달마-혜가慧可 계열의 선 수행 집단인 능가종楞伽宗, 선종의 네 번째 조사[四祖]…
박태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