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및 특별기고]
인생 최고의 행운은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일
페이지 정보
고경 필자 / 2023 년 11 월 [통권 제127호] / / 작성일23-11-04 21:41 / 조회3,900회 / 댓글0건본문
특집 | 성철대종사 열반 30주기 추모 학술대회 : 축사
권탄준•전 한국불교학회장
오늘 열리는 학술세미나는 성철스님 열반 30주기를 기념하는 것으로서, ‘성철스님의 불교인식과 현대적 적용’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30년이란 세월은 한 세대로서 일상의 생활환경이 바뀌는 주기인데, 사회현상 또한 전반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짧지 않은 기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철스님 열반 후 30년이라는 세월은 어쩔 수 없이 앞으로 또 펼쳐지게 될 새로운 상황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인생 최고의 행운은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일’이라고 하여 왔습니다. 다행히도 우리 세대는 성철스님께서 생존해 계실 때의 모습과 가르침이 불자들에게 감동과 함께 자부심을 가지게 하였고, 불교계 밖의 많은 이들에게도 큰 울림을 주어 불교의 위상을 드높이게 하였던 것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성철스님 열반 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성철스님문도회에서는 백련불교문화재단, 성철사상연구원, 장경각 출판사를 설립 운영하여 성철스님의 가르침을 선양하고 길이 이어가기 위해 다양한 학술활동을 하면서도 선방 운영, 삼천배 수련, 아비라 기도수행 등 수련불사도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성철스님의 생전의 가르침은 감동스러운 기억과 함께 보다 가까이 우리들의 삶 속에 살아 있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부터 사회를 이끌어 나아가게 되는 세대는 성철스님의 가르침에 직접적으로 접해 본 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불교에 대한 관심조차도 점점 멀어져 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구나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시대적 변화는 사람들에게 인식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삶의 방식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불교가 새롭게 도약하기 위한 개선방안이 진지하게 모색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꾸준히 제시되어 왔습니다. 그 가운데 무엇보다도 먼저 필요한 것은 불교에 접하는 사람들의 불교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입니다. 인식의 변화 없이는 불교와 관련한 어떠한 개선방안도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시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우리 불교계가 바람직한 모습으로 부응해야 할 것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시점에서 ‘성철스님의 불교인식과 현대적 적용’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세미나는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 성철스님의 불교관의 정수를 밝혀서 이 시대 사회를 올바르게 계도해 나아갈 수 있는 훌륭한 방안들이 제시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그리하여 우리 한국 불교계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가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합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히말라야를 넘나들었던 신라의 순례승들
2001년 케룽현에서 4km 떨어진 거리에 있는 종까마을에서 국보급 가치가 있는 고대석각古代石刻이 발견되어 중국 고고학계를 흥분시켰던 일이 있었다. 바로 〈대당천축사출명〉이란 비문(주1)이다. 이 …
김규현 /
-
대화엄사의 약사여래 마하연
화엄華嚴은 ‘꽃 화華’와 ‘엄숙할 엄嚴’이 만나 이루어진 말로, 온 세상이 한 송이 거대한 꽃처럼 피어나는 진리의 장엄함을 뜻합니다. 직역하면 이러하지만 화엄이라는 말 속에는 존재의 우주적 깊이와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 ⑦ 파환향곡破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1 파환향곡破還鄕曲이라. 앞에서 환향곡還鄕曲이라 해서 지금 고향으로 돌아오는 판인데, 이번에는 고향에 돌아오는 것을 부숴 버린다는 것입니다. 고향에 돌아온다고 하니…
성철스님 /
-
금목서 피는 계절에 큰스님을 그리며
예로부터 윤달이 들어 있는 해는 일반 달보다 여유가 있어 우리 선조들은 그동안 미뤄 두었던 일들을 처리하거나 마음을 정리하는 데 적합한 해로 여겨 왔습니다. 평소에는 꺼렸던 일도 윤달은 ‘귀신도 쉬…
원택스님 /
-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光陰莫虛度]
중국선 이야기 56_ 법안종 ❸ 법안종을 세운 문익은 청원계를 계승한 나한계침羅漢桂琛의 “만약 불법을 논한다면, 일체가 드러나 있는 것[一切現成]이다.”라는 말로부터…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