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3 년 8 월 [통권 제124호] / / 작성일23-08-04 20:57 / 조회4,117회 / 댓글0건본문

보물, 고려 후기, 강원도 인제군 북면 설악산 봉정암.
설악산 소청봉 아래 해발 1,244m 높이에 위치한 봉정암 경내에 있는 탑이다. 높이 3.6m 규모의 아담한 이 석탑은 고려 후기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봉정암중수기」(1781년)에 따르면 이 탑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 7과가 봉안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봉정암은 우리나라의 5대 적멸보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기단부를 생략하고 자연 암반을 기단으로 삼았다는 점, 진신사리를 봉안한 석탑이라는 점, 고대의 일반형 석탑이 고려 후기에 들어 단순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불교미술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2006년 8월 12일, 현봉 박우현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히말라야를 넘나들었던 신라의 순례승들
2001년 케룽현에서 4km 떨어진 거리에 있는 종까마을에서 국보급 가치가 있는 고대석각古代石刻이 발견되어 중국 고고학계를 흥분시켰던 일이 있었다. 바로 〈대당천축사출명〉이란 비문(주1)이다. 이 …
김규현 /
-
대화엄사의 약사여래 마하연
화엄華嚴은 ‘꽃 화華’와 ‘엄숙할 엄嚴’이 만나 이루어진 말로, 온 세상이 한 송이 거대한 꽃처럼 피어나는 진리의 장엄함을 뜻합니다. 직역하면 이러하지만 화엄이라는 말 속에는 존재의 우주적 깊이와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 ⑦ 파환향곡破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1 파환향곡破還鄕曲이라. 앞에서 환향곡還鄕曲이라 해서 지금 고향으로 돌아오는 판인데, 이번에는 고향에 돌아오는 것을 부숴 버린다는 것입니다. 고향에 돌아온다고 하니…
성철스님 /
-
금목서 피는 계절에 큰스님을 그리며
예로부터 윤달이 들어 있는 해는 일반 달보다 여유가 있어 우리 선조들은 그동안 미뤄 두었던 일들을 처리하거나 마음을 정리하는 데 적합한 해로 여겨 왔습니다. 평소에는 꺼렸던 일도 윤달은 ‘귀신도 쉬…
원택스님 /
-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光陰莫虛度]
중국선 이야기 56_ 법안종 ❸ 법안종을 세운 문익은 청원계를 계승한 나한계침羅漢桂琛의 “만약 불법을 논한다면, 일체가 드러나 있는 것[一切現成]이다.”라는 말로부터…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