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내면의 금광을 캐는 종교 > 월간고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월간 고경홈 > 월간고경 연재기사

월간고경

[지혜와 빛의 말씀]
불교는 내면의 금광을 캐는 종교


페이지 정보

성철스님  /  2022 년 1 월 [통권 제105호]  /     /  작성일22-01-05 11:07  /   조회4,688회  /   댓글0건

본문

종교의 목표는 영원한 행복 

 

이제까지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계속해서 이야기해 왔습니다. 지금 조금 벗어나지만 종교란 궁극적으로 무엇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불교란 어떤 특징이 있고 무엇을 근본으로 삼느냐는 문제를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불교나 예수교나 회교나 이미 다 세계적인 종교인 것임엔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각각 교조敎祖의 입장이 다르고 내용도 상이하므로 다 같은 종교라 하더라도 사뭇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각 종교의 입장과 내용은 다르다 할지라도 결국 궁극의 목표는 다 같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서 이야기하자면, 서울로 갈 때 북쪽에서 가든지 남쪽에서 가든지 서쪽에서 가든지 동쪽에서 가든지 어디서 가든지간에 서울이 목표인 것과 마찬가지로 종교의 목표는 공통입니다. 그렇다면 공통인 종교의 목표는 무엇인가? 상대유한의 세계에서 절대무한의 세계로 들어가 영원한 행복을 얻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상대유한의 세계는 생멸生滅의 세계이고 절대 무한의 세계는 해탈解脫의 세계이니,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으로 건너가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것이 종교의 근본 목표입니다. 영원한 행복이란 상대 유한의 세계에서는 실현되지 않습니다. 인간의 근본 욕구는 영원한 행복에 있는데 절대무한의 세계로 들어가지 않으면 영원한 행복을 얻지 못하니 절대무한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 모든 종교의 근본 목표입니다.

 

불교의 궁극 목표

 

그러면 다른 종교는 그만두고 불교의 궁극 목표는 무엇인가? 『기신론起信論』을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고苦를 버리고 구경의 낙樂을 얻는다. 離一切苦하고 得究竟樂이니라.(주1)

 

모든 고苦를 다 버리고 최후의 낙樂, 즉 영원하고 절대적인 즐거움을 얻는 것이 불교의 목표입니다. 그것은 곧 상대유한의 세계를 떠나 절대무한의 세계로 들어가 영원한 행복을 얻는다는 것과 내용이 같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상대유한의 세계를 버리고 절대무한의 세계로 들어가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서울을 가려면 서울 가는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무조건 서울만 간다고 하면 미친 사람입니다. 그 이유를 좀 설명하겠습니다.

 

 

 

성철스님이 그린 원상圓相과 낙관.

 

 

천지만물에는 동물도 있고 식물도 있으며 무생물도 있습니다. 그 가운데 사람은 모든 면에서 수승殊勝하여 만물의 영장이라고 스스로 말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 무엇을 목표로 하고 활동하느냐는 것을 한번 생각해 볼 일입니다. 동서고금을 통해 철학자나 과학자나 종교가나 어느 학자 누구든지간에 분명히 ‘살아가는 목표가 무엇인가?’라고 물으면 ‘행복에 있다’고 말합니다.

 

사람이란 살아 있는 동안에 고생을 하게 되는 많은 조건이 있습니다. 고생의 내용을 각 방면에서 연구하고 분석해 보면 사람이란 실제로 고苦의 존재이지 낙樂은 극히 일부분일 뿐이라고 합니다. 그것을 불교에서는 “삼계가 불타는 집이고, 사생이 고해이다.[三界火宅四生苦海]”라고 표현합니다. 삼계三界, 즉 중생이 사는 우주 전체가 불타는 집과 같고, 사생四生, 즉 생명으로 태어나는 모든 것이 고통의 바다이니, 불타는 집에서 고생만 하고 사는 것이 인생이라는 것입니다. 인생이라는 것이 태어나서 살아 있는 동안에 고생만 하다가 결국은 죽고 마니, 그동안 혹 좋은 일도 더러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순간적이어서 인생 전체로 볼 때는 고는 많고 낙은 적습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이렇게 살아 있는데 자살할 수도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고생을 덜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유사 이래로 사람들은 좀 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왔습니다.

 

행복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일시적인 행복과 영원한 행복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보면 모든 것이 다 상대유한으로 되어 있어서 모순과 모순이 대립하는 투쟁의 세계입니다. 투쟁의 세계에서 일시적으로 행복을 얻었다 해도 곧바로 끝이 있게 됩니다. 그렇지만 살아 있는 이상 일시적인 행복에만 만족할 수는 없으니, 당장 한 시간 후에 죽더라도 지금 이 순간 어떻게 하면 편안하게 살 수 있는가를 공상하는 것이 사람의 본능입니다. 이것이 영원한 행복의 추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종교에서는 영원한 행복을 상대유한의 세계에서는 이룰 수 없으니 절대무한의 세계를 구상하고 거기 가서 영원한 행복을 받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예수교의 천당설天堂說입니다.

 

이 현실세계란 모든 것이 시간과 공간의 제한 속에 있어서 영원하고 무한하지 못합니다. 이 현실세계에서는 아무리 뛰고 구르고 재주를 넘어도 중생이 참으로 본능적으로 욕망하는 영원한 행복을 절대로 성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현실세계에서는 영원한 행복의 추구를 완전히 포기하고 다른 세계를 찾아 그곳만이 절대무한하며 영원한 행복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예수교의 천당설입니다. 저 하늘을 자꾸자꾸 올라가면 새로운 땅이 있으며, 그곳에는 모든 것을 모르는 것이 없고 모든 것을 못할 것이 없는 전지전능全知全能하며 일체를 초월한 절대자 하나님이 계시는데, 그 하늘나라 천당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한번 들어가면 영원한 생명을 누리고 절대적인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하여 왔습니다.

 

사람들에게 영원하고 절대적인 행복을 누리는 곳이 있다고 하면 현실세계를 다 버리고 그곳으로 가자고 할 것 아니겠습니까? 이것이 각 종교의 시발점입니다. 이러한 생각은 종교가 조직화되고 체계화된 이후부터 인류의 사상을 지배해 왔는데, 불교는 3천 년, 예수교는 2천 년, 바라문교는 4천여 년의 세월이 흘러왔습니다. 사람의 지혜가 발달되기 전에는 천당설을 아무 주저 없이 믿고 따랐는데, 지혜가 차차로 발달함에 따라 그런 가르침이 거짓말 같다는 생각이 들어 방황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큰 신학자들이 나서서 “합리合理와 불합리不合理를 따지지 말고 예수의 말씀을 무조건 믿으라.”고 주장했습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유명 한 신학자 성 어거스틴St. Augustine(주2)은 “불합리하기 때문에 나는 믿는다.” 고까지 말했습니다. 

 

이처럼 예수교는 그 근본이 어디에 서 있느냐면 ‘불합리하기 때문에 믿는다’는 절대적인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즈음 같은 우주과학 시대에 와서는 하늘나라를 맹목적으로 믿으라는 말은 통하지 않게 되었고, 또 여러 신학사상들이 나와서 예수교의 사상 자체도 전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본교리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천당에 계시는 절대신인 하나님을 빼고는 예수교를 말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하나님의 힘을 의지해서만 절대무한의 세계인 하늘나라로 들어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불교는 내면의 금광을 캐는 종교

 

그러나 불교는 그와는 정반대입니다. 상대유한의 세계를 벗어난 절대무한의 세계를 어느 곳에서 찾느냐 하면 자기의 마음속에서 찾습니다. 절대무한의 세계가 내 마음속에 다 갖추어져 있는 것이지, 내 마음과 이 현실 밖에 따로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이 불교의 독특한 입장입니다. 혹 어떤 경우에는 타력적인 방편을 쓰기도 하지만 결국은 자력으로 자기 마음을 밝히려는 데 그 뜻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불교를 알려면 자기에게 이와 같은 절대무한의 세계가 갖춰져 있고 ‘내 마음이 곧 부처’라는 것을 믿는 것이 근본 조건입니다. 그러나 내 마음 속에 갖추어져 있는 영원한 생명과 무한한 능력을 계발하여 사용하기 전까지는 그것을 자세히 알 수 없습니다. 부처님이나 옛 조사스님들의 말씀을 믿고 따라서 자기에게 있는 절대무한의 능력을 계발해야 합니다.

 

앞에서도 금광 광맥을 가지고 얘기했지만 누군가가 땅 속에 광맥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면 그 사람이 확실히 안다는 것을 믿고 그 말을 따라가 땅을 파면 금덩어리를 얻을 수 있지만, 그 말을 믿지도 않고 땅을 파지도 않으면 영원히 금을 캐내지 못합니다. 이 금 광맥을 발견해서 알려준 분이 바로 부처님이십니다. 부처님은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현대 과학이 발달되면서 인간에게 영원한 생명과 무한한 능력이 있다는 것이 실증되고 있습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일체 만법에 원만구족한 불성佛性이 확실히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무한한 능력을 일체 중생에게 소개하고 계발할 방법을 가르쳐 주신 것이 부처님이 인류에게 끼친 최대의 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는 처음부터 끝까지 인간을 중심으로 해서 인간을 완성시키는 데 있습니다. 결국 인간의 완성인데, 그 인간이 상대적 인간이냐 절대적 인간이냐는 것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우리 인간은 보통 세상 사람들이 볼 때는 상대적으로 보이지만 불교에서는 절대적이라고 확정해서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인간인 이상 자기를 계발하려 하는데 누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겠습니까?

 

인간은 절대적 존재라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자기가 절대적 존재이며 무한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니, 그것을 계발해서 참으로 완전한 인격을 완성하자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앞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이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에 많은 기여를 할 날이 있을 줄 믿습니다.

이 소식을 게송으로 한번 읊어보겠습니다.

 

기이하다 내 집의 큰 보배 창고여

무한한 신기로운 공력 묘하여 헤아리기 어렵네. 

의지意地를 문득 벗어나 마음 근원을 깨달으면 

신령한 빛이 무너지지 않는 몸을 길이 비추리라. 

奇哉自家大寶藏이여 無限神功妙難測이로다 

頓超意地徹心源하면 靈光長照不壞身하리라

 

이렇게 내 마음속의 보배 창고를 확실히 믿고 계발하여 자기도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하는 것[自利利他]이 불교의 근본입니다. 이것은 내 말이 아니라 부처님 말씀에 의지해서 게송으로 만들어 본 것입니다. 이것을 확실히 믿고 그대로 우리가 계발하면 원자탄·수소탄이 문제가 아닙니다. 이 무한한 보배 창고를 계발해서 끝없는 우리의 능력을 이용하면, 결국 자기도 이익을 보는 동시에 남에게도 이익을 주게 됩니다.

 

- 『백일법문』(2014) 상권, ‘제3장 불교의 궁극 목표’ 중에서 발췌 정리 -

 

 

주)

(주1)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T32, 575b), “一者 因緣總相 所謂爲令衆生 離一切苦 得究竟樂 非求世間 名利恭敬故.”

(주2) 성 어거스틴(St. Augustine): 354~430. 북아프리카의 타가스테(Tagaste)에서 기독교인 어머니와 이교도인 아버지 사이에서 출생. 17세에 카르타고로 가서 수사학을 공부하고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는다. 어거스틴은 기독교 사상사에 큰 영향력을 끼친 사상가로, 고대 교부들의 맨 마지막이며 중세 신학의 선구자이다. 고대 신학의 주류가 그에게서 집대성되었다고 평가받는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성철스님
성철스님은 1936년 해인사로 출가하여 1947년 문경 봉암사에서 '부처님 법대로 살자'는 기치를 내걸고 ‘봉암사 결사’를 주도하였다. 1955년 대구 팔공산 성전암으로 들어가 10여 년 동안 절문 밖을 나서지 않았는데 세상에서는 ‘10년 동구불출’의 수행으로 칭송하였다. 1967년 해인총림 초대 방장으로 취임하여 ‘백일법문’을 하였다. 1981년 1월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에 추대되어 “산은 산, 물은 물”이라는 법어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1993년 11월 4일 해인사에서 열반하였다. 20세기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이자 ‘우리 곁에 왔던 부처’로서 많은 사람들의 추앙을 받고 있다.
성철스님님의 모든글 보기

많이 본 뉴스

추천 0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 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32호

발행인 겸 편집인 : 벽해원택발행처: 성철사상연구원

편집자문위원 : 원해, 원행, 원영, 원소, 원천, 원당 스님 편집 : 성철사상연구원

편집부 : 02-2198-5100, 영업부 : 02-2198-5375FAX : 050-5116-5374

이메일 : whitelotus100@daum.net

Copyright © 2020 월간고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