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빛의 말씀]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자
페이지 정보
성철스님 / 2022 년 4 월 [통권 제108호] / / 작성일22-04-04 12:14 / 조회5,191회 / 댓글0건본문
평화가 넘쳐흐르는 세계
허공보다 넓고 바다보다 깊고 깨끗한 우리들의 마음속에
둥근 해가 높이 떠올라 삼라만상을 밝게 비추니,
거룩한 세계가 눈앞에 펼쳐져 있습니다.
황금으로 성을 쌓고 백옥으로 땅을 덮어
기화요초奇花搖草가 만발한데
진금이수珍禽異獸들이 즐겁게 춤을 춥니다.
평화와 자유로써 모든 세계 장엄하여,
고통은 아주 없고 행복만이 꽉 찼으니
극락, 천당 빛을 잃고 부처님들도 할 말이 없습니다.
개개個個가 영원이며 물물이 무한하고,
탕탕무애자재하여 시공時空을 초월하고 시공을 포함하니,
신비한 이 세계를 무어라 형용할지 말문이 막힙니다.
푸른 물결 속에 붉은 불기둥 솟아나며, 험한 바위 달아나고,
나무 장승 노래하니 참으로 장관입니다.
성인과 악마는 부질없는 이름이니,
공자와 도척이 손을 맞잡고 태평성세를 축복합니다.
이는 허황한 환상이 아니요, 일체의 참모습이니
눈을 감고 앉아서 어둡다고 탄식하는 사람들이여!
광명의 문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대립과 투쟁은 영원히 사라지고 평화만이 넘쳐흐르는
이 세계를 눈을 들어 역력히 바라보며 함께 찬양합시다.
│1985년 1월 1일, 신년법어│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자
행복이 다가오는 소리가 들립니다.
미소를 머금은 행복이 당신의 문을 두드립니다.
삼계三界가 두루 열리고 작약과 수련 활짝 핀 앞뜰에
벌과 나비가 춤추고, 건너 산에서 꾀꼬리 소리 요란한데,
어찌 몽환夢幻 속에 피는 공화空華를 혼자서 잡으려 애를 씁니까.
더불어 재미있게 사는 세상을 만들어 봅시다.
높이 떠올랐던 화살도 기운이 다하면 땅에 떨어지고,
피었던 잎도 떨어지면 뿌리로 돌아갑니다.
이를 들어 연緣이니라, 윤회輪廻니라, 인과因果니라 합니다.
만물은 원래부터 한 뿌리이기 때문입니다.
시비선악是非善惡도 본래 하나에서 시작된 것이어서
이를 가른다는 것은 마음속에 타오르는 불기둥을 끄려고
대해수大海水를 다 마시려는 것과 같습니다.
사바에 사는 모든 사람들도 원래가 하나요,
더불어 잘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시비선악의 분별심이 없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사바의 참모습은 수억만 년 동안 비춰주는 해와 같고
티없이 맑은 창공과 같아 청정한 것인데
분별심을 일으키는 마음에서 하나가 열이 되고 열이 백이 되고,
그로써 욕심과 고통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웃을 나로 보고 내가 이웃이 되고, 열이 하나가 되고,
백도 하나가 되는 융화融化의 중도中道를 바로 보고
분별의 고집을 버립시다.
모두가 분별심을 버리고 더불어 하나가 되어
삼대처럼 많이 누워 있는 병든 사람을 일으키고
본래 청정한 사바세계를 이룹시다.
공자·맹자·예수·부처 거룩한 이름에 시비是非를 논하지 말고,
부처님 생신날 다 함께 스스로 자축自祝합시다.
│1993년 음 4월 8일, 초파일법어│

천지는 나와 같은 뿌리요
천지는 나와 같은 뿌리요 만물은 나와 같은 몸입니다.
천지 사이에 만물이 많이 있지만은 나 외엔 하나도 없습니다.
그리하여 남을 도우는 것은 나를 도우는 것이며,
남을 해치는 것은 나를 해치는 것입니다.
누구든지 나를 해치고자 하는 이는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이 이치를 깊이 깨달아 나를 위하여 끝없이 남을 도웁시다.
바위 틈 돌호랑이 일어서서 소리치니
허공이 무너지고 바닷물이 말라버렸네.
크게 웃고 돌아서서 먼 곳을 바라보니
붉은 산호가지마다 달빛이 찬란하다.
│1981년 6월 28일, 정초우 총무원장 취임식│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