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경주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2 년 3 월 [통권 제107호] / / 작성일22-03-04 11:18 / 조회5,013회 / 댓글0건본문
보물 제187호. 통일신라시대. 경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1-1 소재.
경주 남산 용장사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 불상이다. 높다란 삼륜대좌 위에 모셔진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머리 부분은 사라지고 없다. 높이 솟은 대좌에 비해 불상은 작은 편이다. 대좌의 특성과 석불 자체의 사실적 표현으로 인해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명승 대현大賢 스님과 관련 있는 불상으로 대략 8세기 중엽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6년 5월 21일, 현봉 박우현 촬영)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