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읽는 성철 스님]
성철 스님의 장서 - 간례휘찬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18 년 5 월 [통권 제61호] / / 작성일20-07-17 12:26 / 조회8,205회 / 댓글0건본문
<간례휘찬>은 조선 말기에 신촌이 각종 의례에서 사용되는 문서와 편지 등의 서식과 문투, 주요 의식의 시행 절차 등을 상하층으로 분류하여 편찬한 책이다.
성철스님의 <간례취찬>이 중요한 이유는 이 책 사이에 1932년 12월 2일에 작성한 <이영주서적기>가 있기 때문이다. <행복론>,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역사철학>, <장자남화경>, <소학>, <대학>, <하이네 시집>, 기독교의 <신구약성서>, <자본론>, <유물론> 등 동서고금의 철학에 관한 책 약 70여 권의 목록이 적혀 있다.
특히 <에스페란토사전>, <성경>, <자멘호프 연설집>, <세계를 넘어> 등 에스페란토어 서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독특하다. 이 <이영주서적기>에 불교 관련 서적이 한 권도 없다는 점에서 보통 성철 스님이 20세를 전후한 시기에 본격적으로 불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이해한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