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오돈수의 길을 다시금 다짐하며 > 월간고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월간 고경홈 > 전체 기사

월간고경

[목탁소리]
돈오돈수의 길을 다시금 다짐하며


페이지 정보

원택스님  /  2014 년 1 월 [통권 제9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5,891회  /   댓글0건

본문

겁외사에 신축하고 있는 ‘성철 스님 추모관’ 3층에 올라 흰 눈이 내려앉은 우뚝 솟은 지리산 천왕봉을 바라보게 되니 또 다른 감격이 밀려왔습니다. 새해에 대한 기대와 함께 준비한 계획들을 꼭 이루어보리라는 각오를 새롭게 하게 됩니다.

 

며칠 전 아침에 석남사에 계신 불필 스님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아침 <조선일보>에 큰스님 기사가 났다면서요? 서명원 교수님이 그동안 큰스님의 ‘돈오돈수’ 사상을 연구하고 있어서 원택 스님도 늘 좋은 말씀을 하셨잖습니까? 큰스님께서 돈오돈수 사상을 말씀하신 것은 1950년대 성전에 계실 때부터입니다. 그 사상이 어째서 박정희, 전두환 정권과 연결된다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신도님들이 격앙된 목소리로 ‘어째서 성철 수행법이 권위주의의 산물입니까? 말이나 됩니까?’ 하고 전화를 걸어오니 나도 할 수 없어서 원택 스님께 전화했습니다.”

 

불필 스님의 전화가 아니어도 저도 적잖이 당황하고 있던 때였습니다.
이와 관련한 이야기는 그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지난 12월 17일 아침 <한국일보>에 서명원 교수가 신간 『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를 냈다는 기사를 보고 오전 11시쯤에 서 교수님에게 전화를 걸어 “수고하셨습니다.”고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모처럼 한담을 즐겁게 나누고 책 100권을 사서 주변에 나누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성철 스님이 부처님 밥값을 했다고 말했던 <선문정로>는 돈오돈수의 정수를 밝힌 책이다.  

 

그런데 그날 저녁에 <조선일보> 종교담당 기자에게서 전화가 왔습니다. “원택 스님! 서명원 교수님 책 보셨습니까?” “신간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서 교수님과 통화를 하고 격려를 드렸지만 아직 책 내용을 보지 못했습니다.” “원택 스님! 그 책에는 6편의 논문이 실려 있습니다. 마지막에 실린 것은 영어로 된 논문입니다. 보도자료에 의하면 그 논문이 가장 애정이 가는 논문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호기심이 발동하여 밤새 읽어보니 보통 내용이 아닙니다. 이 논문에 대해서 문도들의 입장을 밝혀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책 내용을 모르고 있으니 자료를 보내주시면 답변 드리지요.”

 

그런 과정을 거쳐 12월 18일 <조선일보>에 ‘성철 수행법은 권위주의 산물’이라는 제목이 붙어 서명원 교수님 얼굴 사진과 함께 기사가 났습니다. 부산 고심정사로도 “원택 스님은 뭐하는 분입니까? 서 교수님은 또 어떻게 이런 논문을 쓸 수 있습니까?”하는 항의가 쏟아졌습니다.

 

그리고 19일에 서 교수님이 연구원을 통해 책을 보내주셨습니다. 영문 논문은 다 읽을 수 없어 책 끝의 결론 부분만 읽게 되었습니다.
‘후론 - 퇴옹성철과 간화선 세계화 연구를 단장하고 보수 관리하는 기폭제’라는 글을 읽고서는 저도 흥분하여 서 교수님에게 항의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글 쓰신 분이 어떤 분이신지 모르겠습니다만 돈오돈수를 주장하는 성철 스님의 연구서를 발표하시면서 어떻게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분에게 결론의 글을 맡길 수 있습니까? 그리고 큰스님의 열반송에 사족을 붙여 번역한 것은 도저히 불교계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입니다. 후론 부분은 돈오돈수를 연구한 서 교수님이 새로 쓰십시오.”

 

영어 논문을 읽은 하남 정심사 주지 원영 스님은 “1980년 10․27법난이나 1987년 6월 항쟁 때 큰스님께서 침묵한 것에 대해 비판한 부분이 많은데, 큰스님 활동이나 불교쪽 자료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고 큰스님의 역할에 대해서 소홀히 다루었다는 생각이 듭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책을 받아 보고서 그 동안 서 교수님이 발표한 논문들을 훑어보니 제가 그 동안 보지 못했던 것도 2~3편 있었습니다.
‘한국 간화선의 전통과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대한불교조계종의 간화선 세계화 캠페인에 부쳐’라는 논문을 읽어보면서 저는 더 깜짝 놀랐습니다. 2010년 8월 12일 ~ 13일 양일간 동국대에서 ‘간화선, 세계를 비추다’는 대규모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되었고 그 자리에 참석하고서 후일에 이 논문을 쓴 듯합니다.

 

서명원 교수님이 논문에서 지적한 조계종의 선맥(禪脈) 등에 관한 사항들에 대해서 한국불교학계나 조계종에서 어떤 답을 내놓았는지는 미처 읽어 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서 교수님의 신간을 접하고서 상념에 젖었습니다. 서 교수님은 성철 스님의 돈오돈수 사상과 보조국사 스님의 돈오점수 사상을 학문적으로 순수하게 연구하고 다가가려 애쓰는 분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이 틀리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서 교수님은 책에서도 말하고 있습니다.


“20년 넘게 가야산의 호랑이를 학문적 대상으로 삼아 탐구하고 닦아 온 필자는 그동안 정신적으로 주요한 세 단계의 과정을 거쳤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단계는 박사 과정 중, 즉 보조지눌(普照知訥,1158-1210)의 사상을 연구하기 전의 시간으로 이때에는 성철 스님께 완전히 심취해 있었다. 둘째 단계는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로서 대학원생들과 함께 여러 해 동안 『보조전서(普照全書)』를 숙독하고 난 다음 성철 스님에게 크게 실망했던 것이고, 셋째 단계는 정교수로 진급할 때가 되어 성철 스님의 장단점을 훨씬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 시기이다.”

 


돈오돈수는 마치 장작이 한꺼번에 갈라지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돈점논쟁을 학문적 측면에서가 아닌 그 정치적 배경을 해명하려고 하는 것은 서 교수님의 전문분야도 아니고 도움을 주었다는 분들도 돈오점수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그러고 보면 서 교수님이 성철 스님의 돈오돈수 사상을 연구하고 그 장단점을 지적하고 있으면서 점수적 입장이고, 서 교수님 주변도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분들이 울타리를 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서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짐을 내려놓았는가 싶었는데 서 교수 덕에 한 짐 잔뜩 짊어지게 된 새해가 되나 봅니다. 긍정과 부정의 길에서 융합을 찾아가는 것이 중도(中道)의 길 아니겠습니까? 돈오돈수 수행의 세계화를 위한 큰 길을 개척해서 모든 중생 성불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원택스님
본지 발행인
1967년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 백련암에서 성철스님과 첫 만남을 갖고, 1972년 출가했다. 조계종 총무원 총무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조계종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도서출판 장경각 대표, 부산 고심정사 주지로 있다. 1998년 문화관광부 장관 표창, 1999년 제10회 대한민국 환경문화상 환경조형부문을 수상했다.
원택스님님의 모든글 보기

많이 본 뉴스

추천 0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 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32호

발행인 겸 편집인 : 벽해원택발행처: 성철사상연구원

편집자문위원 : 원해, 원행, 원영, 원소, 원천, 원당 스님 편집 : 성철사상연구원

편집부 : 02-2198-5100, 영업부 : 02-2198-5375FAX : 050-5116-5374

이메일 : whitelotus100@daum.net

Copyright © 2020 월간고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