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판화]
티베트 불교판화 - 예배용으로 제작 예술적 영감 자극
페이지 정보
한선학 / 2021 년 1 월 [통권 제93호] / / 작성일21-01-13 15:56 / 조회7,392회 / 댓글0건본문
불화판화는 판화로 제작된 불화를 의미하며, 거는 형태로 만들어져, 불자들이 집안에서 예배용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티베트에서는 많은 불화판화가 제작되었으며, 동 티베트 델게[德格]인경원에는 불전도「불타12홍화도」의 9폭 세트를 비롯하여 대형 불화판화 200여 점이 남아 있어, 많은 수행자들과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준다.
「불타12홍화도」 중 ‘석가불탄생도’. 티베트 델게[德格]인경원, 죽파보희 그림. 18C 판각 근대 인출, 72.0x44.5㎝.
「불타12홍화도」 중 ‘석가불태자도’ 티베트 델게[德格]인경원. 죽파보희 그림. 18C 판각 근대 인출. 70.7x45.0㎝.
석가불탄생도
팔상도八相圖 형식 중 ‘도솔래의상’과 ‘비람강생상’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화면의 상단은 ‘도솔래의상’에 해당된다. 화면 하단 오른쪽 전각에 누워 잠을 자고 있는 마야 부인 태중으로 도솔천에서 코끼리의 형상으로 들어오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중앙 부분과 하단 왼쪽 부분은 비람강생상에 해당된다. 무우수 가지를 잡은 마야 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태자가 탄생하는 장면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풍만한 꽃잎과 떠가는 상서로운 구름도 화면의 리듬감을 돋보이게 하며, 인물과 동물의 형상 모두 생동감 있게 묘사되었다. 오른쪽 옆구리로 태어나는 모습은 석가불이 왕자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아래 하단에는 아홉 마리 용이 탄생불을 목욕시켜주시는 모습과 하늘과 땅을 가리킨 채 동서남북으로 일곱 발자국을 걸으며 “천상천하 유아독존”를 소리 높여 외치는 태자의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석가불태자도
이 판화에는 ‘사문유관상’과 ‘유성출가상’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화면의 상단에는 작게 표현되어 있지만 말을 타고 성을 떠나는 태자의 모습과 이를 슬퍼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판화의 중앙에는 정반왕이 태자가 수행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화려한 궁전을 지어주고 궁녀들에 쌓여 인간세상의 환락을 누리게 하는 궁중 생활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악기를 연주하는 궁녀의 무리, 춤을 추는 무희들, 사슴이 있는 아름다운 정원 등이 묘사되어 있고, 태자 옆에서 근심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는 정반왕의 모습도 보인다. 중앙의 오른쪽에 학문에 열중하는 태자의 모습과 성문을 나와 병자와 노인과 수행자의 모습을 보며 인생무상人生無常을 인식하는 장면 등이 표현되고 있으며, 화면의 하단에는 무예를 익히는 태자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성철스님문도회 개최 및 백련암 고서 포쇄 작업
성철스님문도회의 개최 지난 5월 14일 백련불교문화재단 사무실에서 성철스님문도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문도회에는 원택스님(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타스님(청량사 주지), 원행스님(정…
편집부 /
-
볼 수 없는 빛-연꽃
감지에금, 펄, 분채, 76x57. 이해기(2024).
고경 필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