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판화]
신통․첫설법 생생히 묘사
페이지 정보
한선학 / 2021 년 3 월 [통권 제95호] / / 작성일21-03-05 10:32 / 조회8,023회 / 댓글0건본문
제5 신변을 보여 외도를 격파하다
[연시신변演示神變, 격패외도擊敗外道. 사진 1]
부처님이 깨달은 후 신령스런 15가지 신변(神變, vikurvaṇa. 부처님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나타내는 신통)을 일으켜 외도를 격파하고 중생을 교화하는 장면이다. 화면 중앙에 마왕을 물리치고 금강결가부좌한 모습의 석가불이 표현되고 있으며, 중앙 아래에 금강수 보살로 변신한 석가불이 금강저를 들고 육사외도의 자리를 부수고 물속으로 빠뜨리는 등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티베트의 15가지 신변神變은 다음과 같다. 1. 부처님이 바늘 모양을 땅에 꽂자 큰 나무로 변하는 신변; 2. 풀과 좋은 곡식이 나는 커다란 2개의 산을 화현시키는 신변; 3. 세수하는 물에서 보석의 못을 화현시키는 신변; 4. 보배로운 호수의 사면에 각 8개의 강물을 만드는 신변; 5. 입에서 토하는 부처님의 광명은 삼천대천세계를 비추어 밝히는 신변; 6. 부처께서 법력을 베풀어 타인의 몸과 마음에 대해 다 알아차리시는 신변; 7. 윤회의 중생을 왕이 되게 하는 신변; 8. 금강수 보살로 화현하여 외도를 파괴하는 신변; 9. 천계까지 화현하여 대 광명을 일으키는 신변; 10. 신身광명으로 일체세간을 가득 차게 하는 신변; 11. 부처님의 몸은 볼 수 없으나, 도리어 부처님의 소리는 듣는 신변, 12. 부처님의 광명은 널리 비추고, 모든 이들을 상서롭게 화합하는 신변, 13. 배꼽에서 나온 빛이 무수한 부처로 변하여, 삼천세계에 도처에 널리 퍼지는 신변, 14. 부처님이 꽃을 보물로 변화시켜 삼천세계에 보시하시는 신변; 15. 부처님이 지옥의 생령을 구제하시는 신변, 이러한 석가불의 신변으로 육사외도를 격파한 후 진마탑을 세워 공양하는 모습이 화면 화단 우측 편에 표현되어 있다.
사진 1. ‘연시신변, 격패외도’. 티베트 델게인경원, 죽파보포그림. 18C 판각 근대 인출. 72.0x44.5㎝.
제6 바라나시 등에서 널리 가르침을 펴다
[재바라나在波羅奈, 광전법륜廣轉法輪. 사진 2]
깨달음을 얻은 부처님은 대중을 향해 가르침을 펴도 이해할 사람이 없을 것으로 여겨 깨달음을 홀로 간직하려고 했다. 범천梵天이 부처님께 중생을 위해 설법해 줄 것을 간절히 요청했다. 마침내 부처님의 눈으로 세간을 살펴보다가 삼계에 불법을 전하기로 결정했다. 자신과 6년 동안 고행을 했던 5명의 수행자들이 있는 바라나시의 녹야원鹿野苑으로 제일 먼저 갔다. 그들에게 사성제四聖諦를 전수했다. 이를 후세 사람들은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 불렀다. 이후 불·법·승의 삼보가 존재하게 되었다. 화면 중앙에 있는 석가불을 향해 중생을 위해 법을 설해줄 것을 권청하는 범천의 모습이, 다양한 공양물을 바치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법을 설할 결심을 하신 후 바라나시로 이동하여 다섯 비구에게 법을 설하는 장면이 화면 좌측 하단에 표현되어 있다. 화면 상단에는 선녀들이 좌우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부처님을 찬탄하는 모습이 아름답게 표현되고 있다.
사진 2. ‘재바라나, 광전법륜’. 티베트 델게인경원, 죽파보포 그림. 18C 판각 근대 인출. 72.0x43.7㎝.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