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예술]
마하摩訶
페이지 정보
송현수 / 2021 년 6 월 [통권 제98호] / / 작성일21-06-04 14:01 / 조회6,797회 / 댓글0건본문
각자반야 4 | 마하摩訶
생동감 있는 칼끝 정신과 형태 갖춰
마하摩訶는 산스크리트어 mahā를 ‘소리 나는 대로 옮긴 말[音譯]’입니다. 크다·위대하다[大], 많다[多], 뛰어나다[勝] 등의 뜻이 있습니다.
인면印面을 살펴보면 ‘마摩’자는 나무 아래 앉은 수행자가 깨달음을 성취한 순간의 형상을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것은 고대古代 초형인肖形印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초형인은 인물과 맹호, 전갈, 자라 혹은 건축물의 누대나 정자 등이 표현 대상입니다. ‘하訶’자는 조충전鳥蟲篆의 필의를 본받았으며 좌우의 간격을 넓혀 摩자를 떠받드는 형상이다.
마하摩訶의 의미를 최대한 살리고자 했으며 생동감 있는 칼끝의 선질을 보이고자 단입單入으로 처리한 부분이 많다. 형신形神을 함께 갖추고자 수차례 인고印稿 했으나 뜻을 다하지 못한듯합니다.
마하摩訶. 해남석, 6cm×10cm.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