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예술]
체득하다
페이지 정보
송현수 / 2021 년 8 월 [통권 제100호] / / 작성일21-08-04 14:44 / 조회5,565회 / 댓글0건본문
각자반야刻字般若 6. 照見조견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이 반야바라밀을 깊이 운용해 오온이 모두 공함을 체득하고 모든 괴로움을 뛰어넘었다.”
‘조견照見’. 30cm×40cm, ‘해남석 10cm×5cm’. 2013년.
『반야심경』의 이 구절에는 중요한 글자가 많습니다. ‘조견照見’이라는 글자도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비추어 보다.”는 의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몸으로 깨달았다’는 뜻을 가진 체득體得으로 옮겼습니다. 머리로 이해한 것과 몸으로 체득한 것의 차이는 하늘과 땅 만큼이나 큽니다. ‘머리로 이해한 운전’과 ‘몸으로 체득한 운전’을 생각해 보면 이해되실 겁니다. 머리로 이해한 운전술로는 차를 운전할 수 없습니다.
돌에 새겨진 두 글자 ‘조견照見’에는 “전서체, 예서체, 해서체, 행서체”라는 고정된 생각을 넘어선 ‘그 무엇’을 담고자 노력했습니다. 칼로 표현된 선線은 맑고 선명하고 유연하며 배경에는 은은한 연꽃향이 피어있습니다. 깨침의 순간을 최대한 명징明澄하게 표현해보고 싶었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성철스님문도회 개최 및 백련암 고서 포쇄 작업
성철스님문도회의 개최 지난 5월 14일 백련불교문화재단 사무실에서 성철스님문도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문도회에는 원택스님(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타스님(청량사 주지), 원행스님(정…
편집부 /
-
볼 수 없는 빛-연꽃
감지에금, 펄, 분채, 76x57. 이해기(2024).
고경 필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