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화순 운주사 와형 석조 여래불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1 년 11 월 [통권 제103호] / / 작성일21-11-03 22:22 / 조회6,633회 / 댓글0건본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3호(2005년 7월 13일 지정)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千佛山(또는 靈龜山) 기슭에 있는 운주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이다.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풍수지리에 근거하여 비보裨補사찰로 세웠다는 설이 가장 널리 전한다. 이곳의 지형이 배 모양이어서 새로운 세상을 염원하며 하루 낮밤 동안 천불천탑을 세웠다고 한다. 그런데 맨 마지막 불상인 이 ‘부부와불’을 일으켜 세우려 할 때, 불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꼬끼오” 하고 닭 울음소리를 내는 바람에 석공들이 날이 샌 줄 알고 하늘로 날아가 버려 세우지 못했다고 한다. 대체로 북쪽 다리 부분이 남쪽 머리 부분보다 약 5° 높게 경사져 있다. 이 와불을 일으켜 세우면 세상이 바뀌고 천 년 동안 태평성대가 계속된다고 한다. - 현봉 박우현(2009년 5월 22일 촬영)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