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판화]
영원한 자유와 행복의 세계로 가는 길③
페이지 정보
한선학 / 2021 년 12 월 [통권 제104호] / / 작성일21-12-03 11:20 / 조회7,350회 / 댓글0건본문
불교판화 12 | ‘관경 만다라’ 이야기⑤
지난 호에 이어 16관경변상도 중에 산선의散善義(14관-16관)를 살펴 본다. 석존釋尊께서는 정선定善 13관十三觀을 설하시고 나서 다시 산선散善 3관三觀을 설하셨는데, 산선散善이란 산란한 마음이 끊어지지 않은 채, 악을 범하지 않고 선을 닦는 것을 말한다. 햇빛을 받은 물체는 그림자가 생기듯이 사바세계를 살아가는 중생들에게 어찌할 수 없는 죄업의 삶을 깨닫고 아미타불의 정토에 대해 눈을 돌릴 것을 가르친다. 산선이란 이른바 삼복三福이라 하여 세간의 선과 소승의 선과 대승의 선을 가리킨다.

다시 석존께서는 이 삼복을 중생의 근기에 따라 9품九品으로 구분하셨는데, 그중에서 상품상생과 상품중생과 상품하생은 대승의 근기로서 대승선을 닦아서 극락에 왕생함을 말하고, 중품상생과 중품중생은 소승의 근기로서 소승선을 닦아서 극락에 왕생함을 말하며, 중품하생은 세간의 근기로서 세간선을 닦아서 극락에 왕생함을 말한다. 그리고 하품상생, 하품중생과 하품하생은 이른바 삼복무분三福無分이라 하여, 조금도 선행을 닦은 바가 없는 악인이라 할지라도 다만 지성 어린 염불만으로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고 설하셨다.

사진 3. 비천상.
사진 4. 천화불.
사진 5. 칠보궁전
산선의 중 제14관의 첫 번째인 상품상생의 <사진 1>을 보면, “저 극락세계에 태어날 때 용맹하게 정진했기 때문에 아미타불은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과 무수한 화신불과 수많은 비구 성문과 여러 천인 및 칠보궁전과 함께 그 모습을 나투시느니라.”라고 『관무량수경』에서 설한 내용을 충실히 표현하고 있다. 미타의 광명을 받는 것은 경전을 독경하는 출가 대승과 염불하는 중생이며, 이 둘이 함께 극락으로 내영하는 모습이다. 이 사람들이 왕생할 때 아미타불, 관음세지 두 보살과 함께(사진 2), 비천상(사진 3)을 비롯한 무수한 화불(사진 4), 보살, 백 천의 출가자,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는 대중,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제천, 심지어는 칠보의 궁전(사진 5)까지 동반하여 염불행자를 맞이하고 있는 모습을 제대로 표현하고 있다.

사진 7. 연꽃을 든 관세음보살.
상품중생의 <사진 6>에는 2층 궁궐은 위로는 염불이 아닌 행을 위해 문은 열려 있지만 사람은 없으며, 1층에는 스님이 경을 읽고 있으며 염불하는 모습이다. 아마타불이 자금의 연화대를 든 관세음보살(사진 7), 대세지보살들을 대동하고 염불하는 수행자를 내영하는 모습이 보이며, 공중의 화불 열 분은 『관경』에 나와 있는 천화불을 표시하는 동시에 자비와 지혜가 구족한 염불인 나무아미타불 십념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상품하생의 <사진 8>에는 집안에 가리개 발이 내려져 있다. 집안은 어둡고 밖은 밝은 극락을 의미한다. 오른쪽 화면 구석에는 돌이 놓여 있다. 돌은 변하지 않듯이 부처님의 염불공덕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좌측 하단에는 가로세로가 조합된 울타리가 있으며, 세로는 지혜의 염불, 가로는 자비의 내영으로 염불 소리 있는 곳은 반드시 극락왕생의 내영이 있음을 나타낸다. 보살 열 명은 나무아미타불 십념, 공중에 떠 있는 다섯 화불은 오백 화불을 나타낸다. “수행자가 목숨이 다하려 할 때, 아미타불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대중 권속들에 둘러싸여 자금의 연화대를 가지고 수행자 앞에 그 모습을 나투시느니라.

그리고 칭찬하시길 ‘진리의 자식이여, 그대는 대승법을 행하고 최고의 진리를 알았으므로, 이제 내가 와서 그대를 영접하느니라.’ 하시며, 일천의 화신불과 함께 일시에 손을 내미시느니라. 그때 수행자가 자기를 돌아보면 자신은 이미 자금의 연화대에 앉아 있느니라. 수행자는 합장하여 여러 부처님을 찬탄하고, 한 생각 동안에 곧바로 저 극락세계의 칠보 연못 연화대 위에 태어나느리라.” 이렇게 『관무량수경』에서 말씀하시듯이, 우리는 이제 아미타부처님이 내미시는 손을 잡고 영원한 자유와 행복의 세계인 극락에 태어나는 것을 관하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