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반야]
무명도 없고 무명이 다함도 없다
페이지 정보
송현수 / 2022 년 2 월 [통권 제106호] / / 작성일22-02-04 10:44 / 조회6,351회 / 댓글0건본문
각자반야刻字般若 12 | 無無明 亦無無明 무무명 역무무명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무명도 없고 무명의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없고 늙고 죽음의 다함까지도 없으며,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의 없어짐과 괴로움을 없애는 길도 없으며, 지혜도 없고 얻음도 없느니라.
중생의 눈으로 보면 성과 속이 있고, 번뇌와 보리가 다른 것이다. 따라서 얻어야 할 지혜도 있고, 성취해야 할 경지도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공空의 세계는 모든 현상적 차별이 사라진 세계이다. 따라서 무명無明으로부터 노사老死로 흘러가는 12연기의 유전연기도 없으며, 무명이 사라짐으로써 노사가 사라지는 환멸연기도 없다. 나아가 고집멸도라는 사성제의 설명도 유효하지 않고, 지혜나 얻어야 할 경지도 없다.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번뇌와 보리가 둘이 아닌 세계이기 때문이다.
전각은 권위의 상징과 믿음의 징표로 주로 문서에 많이 사용되었다. 아직도 인감도장으로 남아 1인 1도장의 시대는 연장되고 있지만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QR코드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어 인감도장의 명맥이 어디까지일지, 국그릇 밥그릇처럼 문화유산이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성철스님문도회 개최 및 백련암 고서 포쇄 작업
성철스님문도회의 개최 지난 5월 14일 백련불교문화재단 사무실에서 성철스님문도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문도회에는 원택스님(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타스님(청량사 주지), 원행스님(정…
편집부 /
-
볼 수 없는 빛-연꽃
감지에금, 펄, 분채, 76x57. 이해기(2024).
고경 필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