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합천 청량사 석조석가여래좌상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2 년 4 월 [통권 제108호] / / 작성일22-04-04 12:16 / 조회6,136회 / 댓글0건본문
보물 제 265호, 통일신라, 경남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소재.
불신과 대좌臺座, 광배光背가 모두 갖추어진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불상이다. 둥근 얼굴에서는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고,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가슴은 발달되고, 두 팔과 다리 등은 양감이 풍부하여 힘이 넘치는 자세를 하고 있다. 광배는 배舟 모양으로, 광배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와 비천飛天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머리광배 위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다. 상중하로 구성된 대좌는 4각형으로 중대에는 2구의 보살상이 조각되어 있고, 하대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하고 그 아래 팔부신상八部神像을 조각했다. 이 불상은 조각의 우수함과 대좌 양식 및 그 장식이 우아하여 9세기에 조성된 불상 중에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2년 2월 19일 현봉 박우현 촬영)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현대불교가 잃어버린 사문 전통의 메아리
베트남의 거리 수행자 틱민뚜에[釋明慧]가 남긴 질문들 어느 종단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스스로 걷고, 탁발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발견된 한 수행자가 베트남 불교계를 뒤흔들고 있다. 그…
유권준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