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불교논집 제2집 1992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첨부파일
-
백련불교논집02-01발간사(원택).pdf (176.2K)
-
백련불교논집02-02무심론(성철).pdf (731.2K)
-
백련불교논집02-03무아에 대한 일고찰(최정규).pdf (817.9K)
-
백련불교논집02-04중국 초기 불교의 이제론(박해당).pdf (1,003.9K)
-
백련불교논집02-05돈황본 육조단경의 선사상(2)(정성본).pdf (1.3M)
-
백련불교논집02-07중국의 아미타신앙(김영미).pdf (1.5M)
-
백련불교논집02-08신라 불교사상사에서의 태현 유식학의 의의(방인).pdf (1.1M)
-
백련불교논집02-09세계종교사 서술에 나타난 불교(송현주).pdf (708.6K)
-
백련불교논집02-10범본대조 서장본에 의한 신역금강경(2)(전재성).pdf (263.2K)
-
백련불교논집02-11법칭(Dharmakirti)의 타상속의 존재 논증(2)(전치수).pdf (142.5K)
본문
백련불교논집 제2집 (1992년)
1. 無心論 / 퇴옹 성철
2. 무아에 대한 일고찰 : ‘非’의 논리 최정규
3. 중국 초기 불교의 이제론 / 박해당
4. 돈황본 육조단경의 선사상(2) / 정성본
5. 중국 선서의 번역을 위한 문헌학적 접근(2) : 선서의 어휘를 중심으로 / 신규탁
6. 중국의 아미타신앙 : 남북조~당대의 신앙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미
7. 신라 불교사상사에서의 태현 유식학의 의의 / 방 인
8. 세계종교사 서술에 나타난 불교 / 송현주
9. 범본대조 서장본에 의한 신역금강경(2) : 부록 / 전재성
10. 법칭(Dharmakirti)의 타상속의 존재 논증(2) : 부록 / 전치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