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책소개
『백일법문』은 개정 증보판으로 성철 스님이 1967년 해인총림의 초대 방장(方丈)으로 추대되신 후 그해 첫 동안거를 맞이하여 백일동안 상당법문과는 별도로 대중들을 위해 불교를 총체적으로 강설하신 것을 책으로 묶은 것입니다. 상권은 불교의 본질, 중도사상, 근본불교, 인도 대승경론의 중도, 중관·유식을 정리해 묶었습니다. 중도사상 이후는 절節과 항項에서 제목은 같으나 순서가 전보다 많이 바뀌어 있습니다.저자소개
성철성철 스님은 1936년 해인사로 출가하여 1947년 문경 봉암사에서 ‘부처님 법대로 살자’는 기치를 내걸고 현대 한국불교의 기틀을 마련한 ‘봉암사 결사’를 주도하였다. 제방 선원에서 정진하다 1955년 대구 팔공산 성전암으로 들어가 10여 년 동안 절문 밖을 나서지 않았는데 세상에서는 ‘10년 동구불출(洞口不出)’의 수행으로 칭송하였다. 1967년 해인총림 초대 방장으로 취임해 한국불교 최고의 설법으로 꼽히는 ‘백일법문’을 하였다. 1981년 1월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에 추대되어 “산은 산, 물은 물”이라는 법어를 내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평생을 철저한 수행으로 일관했던 성철 스님은 1993년 11월 4일 해인사 퇴설당에서 열반에 들었다.
목차
차례개정증보판 『백일법문』 출간에 붙여 … 5
시작의 말씀 … 21
제1부
제1부 불교의 본질
제1장 불교의 본질 … 29
1. 깨달음의 종교 … 29
2. 현수대사의 화엄연기법 … 33
3. 의상대사의 깨친 경계 … 37
4. 『원각경』의 대각大覺 … 40
5. 선종의 깨침 … 42
6. 첫 결집結集에서 쫓겨난 아난 … 45
7. 불교의 근본은 깨달음 … 50
제2장 불교의 절대적 인간관 … 54
1. 부처님의 정각 … 54
2. 문자 없는 경 … 56
3. 언어 문자에 대한 비판 … 58
4. 바른 믿음, 삿된 믿음 … 61
5. 왕양명의 거지노릇 … 64
제3장 불교의 궁극 목표 … 68
1. 종교의 목표 … 68
2. 불교의 궁극 목표 … 69
제4장 참선 수행 … 75
1. 교가敎家의 수행방법 … 75
2. 선가禪家의 수행방법 … 77
제2부
제2부 중도사상
제1장 교학에서의 판석 … 91
1. 천태종의 교판 … 91
2. 화엄종의 교판 … 93
3. 원교圓敎의 중도교판 … 95
제2장 선종의 중도 … 103
1. 육조혜능 … 103
2. 백장회해 … 106
3. 대주혜해 … 108
제3장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 113
1. 초전법륜 … 115
2. 대승불교의 정통성 … 120
제4장 중도사상의 독창성 … 125
1. 전변설과 적취설 … 126
2. 중도설 … 127
3. 대승의 중도 … 131
제3부
제3부 근본불교 사상
제1장 중도대선언 … 143
제2장 팔정도八正道 … 147
제3장 『가전연경』에서의 중도 … 151
1. 남전南傳 『가전연경』 … 151
2. 한역漢譯 『가전연경』 … 158
제4장 『가전연경』의 교학적 위치 … 162
1. 『천타경闡陀經』 … 162
2. 생멸법상生滅法相 … 167
3. 생사 즉 열반 … 171
4. 중국 선종의 중도관 … 175
제5장 『가전연경』 계통의 경전들 … 183
1. 유무有無의 중도 … 183
2. 유무有無·일이一異의 중도 … 184
3. 단상斷常의 중도 … 186
4. 자작타작自作他作의 중도 … 186
제6장 십이연기 … 189
1. 십이연기의 상의성相依性 … 190
...(하략)
책속으로
시작의 말퇴옹 성철(가야산 해인총림 방장)
쉬어가고 또 쉬어가니 절름발이 자라요 눈먼 거북이로다. 있느냐, 있느냐? 문수와 보현이로다. 허공이 무너져 떨어지고 대지가 묻혀버리네. 높고 높은 산봉우리에 앉아 머리엔 재 쓰고 얼굴엔 진흙 발랐네. 시끄러운 거리에서 못을 끊고 쇠를 자르니 날라리리랄라여! 들늙은이 취해 방초 속에서 춤추네. 때 묻은 옷을 방편으로 걸어놓고 부처라 하나 도리어 보배로 단장하면 다시 누구라 할꼬. 여기서 금강정안을 잊으면 팔만장경은 고름 닦은 휴지로다. 마명과 용수는 어느 곳을 향하여 입을 열리오.
잠시 침묵한 후 “갑·을·병·정·무로다.” 억!
홀로 높고 높아 비교할 수 없는 사자왕이 스스로 쇠사슬에 묶여 깊은 함정에 들어가네. 한 번 소리치니 천지가 진동하나 도리어 저 여우가 서로 침을 뱉고 웃는구나. 쯧쯧쯧 황금 궁궐과 칠보의 자리 버리고 중생을 위해 아비지옥으로 들어가네. 休去歇去하니 跛鼈盲龜요 有麽有麽아 文殊普賢이라 虛空이 撲落하고 大地가 平沈이로다 高高峰頂에 灰頭土面이요 紛紛街下에 斬釘截鐵하니 囉囉哩哩囉囉여 野老가 醉舞芳草裏로다 權掛垢衣云是佛이나 却裝珍御復名誰오 於此에 喪却金剛正眼하면 八萬藏敎는 是拭瘡疣故紙라 馬鳴龍樹는 向什麽處하야 下口리요
良久에 云호대 甲乙丙丁戊로다 喝一喝 獨尊無比獅子王이 鐵鎖自縛入深穽이라 哮吼一聲震天地하나 却彼野干相唾笑로다 咄咄咄 抛却金闕七寶座하고 欲爲衆生入阿鼻로다
‘쉬고 쉰다[休去歇去]’는 말은 일체 생각과 일체 일을 다 쉰다는 말이 니, 불법이든 세간법이든 할 것 없이 모든 일과 모든 생각을 다 쉬어 서 부처도 조사도 공자도 예수도 잊고 일체 만사를 다 잊는 것을 말합 니다. 그렇게 다 잊고 나니 어떻게 되는가? ‘절름발이 자라요, 눈먼 거북이’ 입니다. 여기에 깊은 뜻이 있습니다.
머리말
『백일법문』 개정 증보판 발간『백일법문』 누락된 법문 내용들 추가 … 기존 2권에서 3권으로
“중도(中道)로 불교를 풀어낸 최고의 교과서”
1. 한국불교 최고의 법문으로 손꼽히는 『백일법문』 개정 증보판이 발간되었습니다.
2. 『백일법문』은 성철 스님이 1967년 해인총림의 초대 방장(方丈)으로 추대되신 후 그해 첫 동안거를 맞이하여 백일동안 상당법문과는 별도로 대중들을 위해 불교를 총체적으로 강설하신 것을 책으로 묶은 것입니다.
법문 당시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킨 ‘백일법문’은 ‘성철 스님의 중도대선언(中道大宣言)’이라고 합니다. 팔만사천법문으로 펼쳐지는 방대한 불교교설 가운데 근본이 되는 내용만을 골라 경론(經論)과 조사어록(祖師語錄) 등을 인용하여 간명하게 설명하고, 불교의 핵심인 중도 사상으로 선(禪)과 교(敎)를 회통하여 천명(闡明)하였기 때문입니다.
3. 이번에 발간된 『백일법문』은 상, 중, 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1992년 4월 발간된 『백일법문』보다 약 1권 분량이 늘어난 것입니다. 이번 『백일법문』은 초판본 『백일법문』에 사용된 녹음 테이프를 다시 녹취하고, 당시 빠진 테이프를 찾아 녹취?정리하여 편집하였습니다.
상권은 불교의 본질, 중도사상, 근본불교, 인도 대승경론의 중도, 중관·유식을 정리해 묶었습니다. 중도사상 이후는 절節과 항項에서 제목은 같으나 순서가 전보다 많이 바뀌어 있습니다.
중권에 들어간 화엄종·삼론종의 중도사상 순서에는 변화가 거의 없고, 본래 법상종의 중도사상에 있던 인도의 유식사상은 상권으로 옮겼습니다. 그러나 천태종의 중도사상은 절의 제목, 순서가 많이 바뀌어 있습니다.
하권에는 선종의 중도사상, 선종의 본질, 돈오돈수와 보조국사의 돈오점수 사상 등이 들어 있는데, 내용상 증보가 많으나 순서상에는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1992년에 발간된 『백일법문』과 비교해 보면, 증보된 내용이외 절의 순서들이 바뀌고 구어체를 되도록이면 문어체로 바꾼 것이 큰 특징입니다. 또 이전 발간본은 교리발달 순서로 편집됐고, 이번 책은 되도록이면 성철 스님이 법문한 순서에 따라 원음原音을 최대한 복원復元하기로 했습니다. 이것이 이번 개정증보판 『백일법문』의 큰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