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생
해탈의 길
퇴옹 성철 큰스님 열반 11주기를 맞이하여 펴낸 책. 큰스님의 참되고 소박한 가르침을 전해주는 다양한 글을 만날 수 있다. 큰스님이 처음 출가한 수행자들에게 일러주는 글들을 모은 , 큰스님이 평생 살면서 스스로에게 다짐했던 글들을 담은 , 치열한 수행을 통해 영원한 자유를 누린 스님들의 이야기를 모은 , 본문에서 언급된 스님들의 간략한 행장과 일화를 모은 가 수록되어 있다.
한국유식사상사
삼국시대의 유식사상은 물론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식사상까지 총체적으로 기술한 저서. 우리나라의 불교교학사에서 큰 지류를 형성해 온 유식사상을 고려시대부터 백제,신라,고려 및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종 문헌을 통해 조사, 정리해 한국불교사 속의 유식학을 살폈다.
한국불교의 법맥
6.25 뒤, 한국 불교가 일제의 묵은 빚을 처리하느라 비구와 대처 사이의 싸움이 한창이던 때, 이 한 권의 책은 비구승의 사상적 계보가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그 갈등에 이론적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의 조계종은 부처님을 시조로 하고 조계 혜능스님을 원조로 한 임제하 태고의 법손임을 밝히고 있다.
한국불교음악사연구
불교음악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관한 종합적, 입체적 연구서. 중국으로부터 불교음악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후 어떤 형태의 한국적 불교음악으로 변천하고,또 전개되었는가를 연구했다. 불교의 발생지인 고대 인도의 불교음악부터 우리나라 현대의 창작불가까지 고찰.
평화로움
이 책은 베트남의 선사로서 평화를 위한 노력으로 전세계 지성인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고 있는 틱낫한 스님의 저서 “BEING PEACE”의 우리말 옮김입니다. 그는 전쟁중에 베트남에서 태어나 소년기에 출가하여 붓다의 위대한 사랑과 자비로운 가르침이 그 조국의 크나큰 상처를 치유하고, 모든 인류를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말씀임을 신봉하며 모든 이들을 부처님 곁으로 이끌기 위한 인도자가 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빈부나 이념의 대립된 입장을 초월해 중도적 입장을 견지한 그는 극단적 이데올로기로 말미암은 평화의 파괴, 인류의 수난 – 특히 어린이를 비롯한 소외받은 사람들의 고통 –을 가슴 아파했습니다. “평화로움”은 1985년 그가 불교센터의 학생과 일반인에게 명상화 평화를 위해 행한 여러 차례의 강연과, 걷기선, 명상 등 그??
틱낫한스님의 금강경
평화운동가이자 세계 불교계의 상징적 인물인 틱낫한 스님의 금강경 해설. 틱낫한 스님은 쉽고도 명확한 설명을 통해 금강경 속에 우리의 마음을 괴롭히는 무지와 어리석음을 단번에 끊어내는 가르침이 있다고 강조한다.
틱낫한 스님의 반야심경
『반야심경』은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진리의 핵심으로, 전 세계의 여러 공동체에서 매일 낭송되는 경전이다. 이 책은 1987년 봄, 틱낫한 스님이 캘리포니아·콜로라도·뉴욕 등 미국 각지에서 강의한 『반야심경』강의를 모은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문 반야심경'을 틱낫한 스님이 영문으로 번역하고 주석한 내용을 다시 우리 말로 옮겼다. 2,500여 년 전 석가모니 시대로부터 입과 입으로 전해내려온 가르침의 핵심이 담겨 있다.
조사선의 실천과 사상
혜능과 마조, 백장, 황벽, 임제 등 마조계 선승들을 중심으로, 직지인심, 견성성불이라는 실천적 측면과 심성관, 수증관이라는 사상적 측면의 구도 속에서 조사선의 본질을 밝힌 이론서. 특히 육조혜능과 그 문하가 이전의 점수선을 극복하고 새롭게 행한 돈오선의 본질이 어떤 것이며, 어떤 점에서 점수선을 극복하고 있는가를 살폈다.
절대무의 견성철학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의 융합을 보여주는 니시다 철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임제100할
을 정밀하게 번역한 책. 대화가 이어지는 맥락이나, 하나의 상황과 또하나의 상황과의 구별 등에 의해 전체를 100개로 나누었다. 상세한 주석과 해설을 통해 임제스님의 지혜와 말씀을 전해준다. 제1부는 깨달음에서 입적까지의 행적, 제2부는 공부인에게 주는 법어, 제3부는 선문답으로 구성하였다.
일본의 한국불교 연구동향
제8호에 실렸던 특집을 번역, 보충한 연구서. 일본의 한국불교 연구 논저목록을 제공하고, 일본에서 불교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이름을 함께 갈무리해 놓았다.
윤회의 자아와 무아
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로 있는 저자가 표제를 주제로 고찰한 연구글. 불교에서 막연하게 통용된 주체개념의 사상사적 위상을 연기설과 무아설의 정통 노선에 정립함으로써 무아설이나 윤회설을 평가 절하하는 오해를 불식시키겠다는 저자가 총 8장으로 엮었다.
윤회의 비밀 속편
윤회나 환상은 실재하는 것일까? 저자는 육체적 질병만이 아닌 온갖 삶의 고난에 허덕이는 사람들의 과거와 현재를 투시함으로써 그 고난의 원인이 먼 전쟁에서 비롯되는 카르마 때문임을 설명했다.
윤회의 비밀
윤회나 환생은 정말 실재하는 것일까? 육체적 질병만이 아닌 삶의 고난에 허덕이는 사람들의 과거와 현재를 투시하여 그 고난의 원인이 먼 전생에서 비롯되는 카르마 때문임을 증명했다.
우) 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32호
전화 : 02-2198-5372, FAX : 050-5116-5374
이메일 : whitelotus100@daum.net
Copyright © 2020 도서출판 장경각.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