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간록(상)
[임간록(林間錄)]은 북송(北宋)의 혜홍각범(慧洪覺範:1071∼1128)스님이 찬술(撰述)한 책으로 불법 종지와 총림의 수행에 관한 300여 편을 상·하 2권에 싣고 있다. 권말의 신편후록(新編後錄) 1권은 부록 또는 속집(續集)이라고도 하는데, 자신이 지은 찬(讚) 26수 및 시(時) 6수를 싣고 있다. 논소(論疏)에는 [임간록 고증(林間錄考證)] 7권, [임간록 고략(林間錄考 )] 1권이 있다. [임간록]은 혜홍(또는 德洪이라고도 함)스님이 37세 되던 철종(哲宗) 대관(大觀) 원년(1107) 사일(謝逸 : 字 無逸 號 溪堂)의 서문(序文)을 얻어 간행한 것으로, 그 훌륭한 문장은 선적(禪籍)중의 백미(白眉)라 하여 예부터 총림에서 많이 애송되었다. 또한 본문 속의 '오가종파(五家宗派)'나 '덕산사가어록(德山四家語錄)'등의 기록은 어록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임간록(하)
임간록은 북송의 혜홍 각범(1071~1128) 스님이 찬술한 책으로 불법 종지와 총림의 수행에 관한 300여편을 상,하 2권에 싣고 있다.권말의 신편 후록 1권은 부록 또는 속집이라고도 하는데, 자신이 지은 찬 26수 및 시 6수를 싣고 있다. 논소에는 임간록 고증 7권, 임간록 고략1권이 있다.
오가정종찬(상)
오가정종찬은 5가, 즉 임제종, 조동종, 운문종, 위앙종, 법안종에서 정통으로 종맥을 이은 62명의 스님과 달마대사로부터 설봉선사에 이르기까지 5가의 원류가 되는 12명을 포함해서, 모두 74명의 스님에 대하여 간략한 전기와 기연을 기록하고 각각에 대해 찬을 붙인 것이다.
오가정종찬(하)
[5가정종찬(五家正宗贊)]은 5가, 즉 임제종(臨濟宗)·조동종(曹洞宗)·운문종(雲門宗)·위앙종( 仰宗)·법안종(法眼宗)에서 정통으로 종맥을 이은 62명의 스님과 달마(達磨)대사로부터 설봉(雪峯)선사에 이르기까지 5가의 원류가 되는 12명을 포함해서, 모두 74명의 스님에 대하여 간략한 전기와 기연을 기록하고 각각에 대해 찬(贊)을 붙인 것이다.
마조록.백장록
마음 그대로가 부처다' '평상심이 도다'라고 한 마조스님의 어록과 철저한 중도에 입각한 법문과 대중운력, 청규 등을 강조한 백장스님의 말씀을 모은 것이다. 백장스님의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고 한 한마디는 선문에서 자주 거론하는 유명한 이야기이다.
임제록.법안록
선어록의 백미라고 일컬어지는 임제스님의 말씀과 법안종의 개조인 법안스님의 말씀을 모았다. 현재 유통되는 임제록은 서문, 상당, 시중, 감변, 행록, 탑기의 여섯 부분으로 꾸며져 있다. 시중편은 어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바른 안목, 일 없음, 4조용, 4빈주 등에 임제스님의 '할' 한마디가 곳곳에 드러나 있다. 법안스님의 법은 당말 오대를 거쳐 천태 덕소, 영명 연수스님으로 이어지는 법안종을 이루었다. 그들은 선교일치를 주장하여 천태종과도 관계가 깊다.
위앙록
[위산록]은 위산 영우(僞山靈祐 : 771∼853) 스님의 어록이다. 위산스님은 제자 앙산혜적(仰山慧寂:807∼883 碑銘)스님과 함께 위앙종을 형성하였다. 이 두 스님의 독립된 어록은 명(明)의 원신(圓信)과 곽응지(郭凝之)에 의해 5가어록(五家語錄)이 편집되면서(1630) 이루어졌다.
조동록
조동종의 종조인 동산 양개스님과 조산 본적스님의 어록이다. 불법의 오묘한 진리를 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나타낸 5위군신설, 3종강요, 보경삼매, 3종타 등에서 불법을 깨닫는 방편을 거론하고 있으며, 동산스님이 출가 후 어머니에게 보낸 사친서辭親書도 실려 있다.
운문록 (상)
운문종의 종조인 운문 문언스님의 어록이다. 대기, 12시가, 게송, 실중어요, 수시대어, 감변, 유방유록으로 꾸며졌다. 운문스님은 한마디의 간결한 답으로 수좌들을 깨우치는 일자관一字關으로 유명하며, 설봉스님의 인가를 얻어 운문산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운문록(하)
양기록.황룡록
양기 방회스님과 황룡 혜남스님은 각각 임제종 양기파와 황룡파의 개조이며, 그 뒤로 선조의 오가 칠종이 형성되었다. 황룡스님이 살던 네 곳 산에서의 법어를 모두 실었고, 그 외 게송 마흔한 수도 실려 있다.
조주록
조주성 동쪽의 관음원에 살아서 조주라 불린 조주스님의 어록이다. 남전 보원스님의 법을 이었으며, 남전스님의 시자를 사십 년 동안 하다가 스님의 입적(57세 때) 후에야 비로소 행각에 나섰고(60세), 팔십 세부터 관음원에 살다가 백이십 세에 입적하였다. 행각을 나서면서 이런 이야기를 하였다. "일곱 살 아이라도 나보다 훌륭하면 배우고 백 살 노인이라도 나보다 못하면 가르쳐 주겠다."
설봉록
설봉 의존스님은 덕산스님의 법을 이었다. 스님의 문하에는 뒷날 조동종의 종조인 동산 양개스님과 또 법안종의 종조인 법안 문익스님이 있어 선종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이 어록은 명 숭정 12년 임연행이 편집한 것으로 상당법문, 법어, 유계 등과 연보가 실려 있다.
현사록
현사 사비스님이 입적하기 몇 년 전에 문인 지엄스님이 편찬한 것이다. 상당법어 칠십여 가지와 방장록 등이 있고, 특히 불법의 요체를 묻는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한 설명과 게송은 「현사록」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현사스님은 설봉 의존스님의 법을 잇고, 어려서는 낚시를 무척 좋아하였으나 발심하여 출가한 뒤에는 그 수행이 하도 엄격하여 비두타備頭陀라고도 불리었다.
태고록
태고 보우스님의 어록이다. 중국에 가서 석옥 청공스님에게서 임제종의 법을 잇고 귀국하여서는 공민왕의 왕사와 국사로서 불교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우) 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32호
전화 : 02-2198-5372, FAX : 050-5116-5374
이메일 : whitelotus100@daum.net
Copyright © 2020 도서출판 장경각.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