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책소개
『인천보감(人天寶鑑)』은 세상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일들을 모은 책이다. 주로 스님들의 이야기이지만 유교와 도교에 관계되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수집하여 편집하였다. 편집자인 담수(曇秀) 스님은 서문에서 이 책을 편집한 의도를 두 가지로 말하고 있다.하나는 옛 사람들의 훌륭한 일을 널리 세상에 알리기 위해서이다. 그리하여 비석이나 어록, 짧은 기록, 또는 직접 들은 이야기들을 시대의 앞뒤 없이 보이는 대로 기록하였는데, 이것은 대혜(大慧, 1089~1163) 스님의 『정법안장(正法眼藏)』을 본따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는 선(禪)을 닦는 이들이 오로지 선만을 주장하는 폐단을 경계하기 위해서이다. 옛사람들은 선만이 아니라 교와 율(律), 나아가 유교와 도교까지도 널리 터득하였음을 말하고자 함이라고 하였다.
.
『고애만록(枯崖漫錄)』은 남송(南宋) 임제종 양기파 선승(禪僧)들의 삶을 기록한 책이다. 저자인 고애원오(枯崖圓悟) 스님은 복주(福州) 복청(福淸) 사람으로 대혜종고(大慧宗고, 1089~1163)·불조덕광(佛照德光, 1121~1203)·절옹여염(浙翁如琰, 1151~1225)·언계광문(偃溪廣聞, 1189~1263)으로 내려오는 양기파의 한 맥을 잇는 인물이다. 스님은 원래 유학을 익히다가 발심 출가하였고, 경산사(徑山寺)에서 서기소임을 본 일이 있으며, 가정(嘉定, 1208~1224) 연간에는 보령사(保寧寺)에 머물다가 1263년 경산사로 돌아와 이 책을 썼다.
.
『산암잡록』은 명초(明初) 홍무(洪武, 1368~1397) 10년 경에 무온서중(無?恕中, 1309~1386) 스님이 원대(元代) 불교(佛敎)를 이야기식으로 정리한 불교사서(佛敎史書)이다. 저자 무온서중 스님은 태주(台州) 임해(臨海) 사람으로 속성은 진씨(陳氏)다. 어려서 경산사(徑山寺)에 출가하여 소경율사(昭慶律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임제종 양기파 축원묘도(竺元妙道, 1257~1345) 스님의 법을 이었다. 세상에 나가기를 싫어하여 행각과 안거로 일관한 삶을 살았다. 홍무 7년(1374)에는 일본의 초청에 응하라는 나라의 명을 사양하고 천동사로 돌아가서 이때 『산암잡록』을 집필하였다.
저자소개
담수: 복주(福州) 복청(福淸) 사람으로 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불조덕광(佛照德光, 1121~1203)·절옹여염(浙翁如琰, 1151~1225)·언계광문(偃溪廣聞, 1189~1263)으로 내려오는 양기파의 한 맥을 잇는 인물이다. 스님은 원래 유학을 익히다가 발심 출가하였고, 경산사(徑山寺)에서 서기소임을 본 일이 있으며, 가정(嘉定, 1208~1224) 연간에는 보령사(保寧寺)에 머물다가 1263년 경산사로 돌아왔다.|||태주(台州) 임해(臨海) 사람으로 속성은 진씨(陳氏)다. 어려서 경산사(徑山寺)에 출가하여 소경율사(昭慶律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임제종 양기파 축원묘도(竺元妙道, 1257~1345) 스님의 법을 이었다.세상에 나가기를 싫어하여 행각과 안거로 일관한 삶을 살았다. 홍무 7년(1374)에는 일본의 초청에 응하라는 나라의 명을 사양하고 천동사로 돌아가서 이때 『산암잡록』을 집필하였다."
목차
한글 선어록을 발간하면서 … 005사명담수 스님의 인천보감
해제 … 020
서문(1) … 024
서문(2) … 025
발문(1) … 027
발문(2) … 028
1. 승보 / 담광(曇光) 법사 … 029
2. 두타행 / 좌계현랑(左溪玄朗) 존자 … 031
3. 자기 부처 / 무상(無相) 선사 … 033
4. 조계 근원 / 덕소(德韶) 국사 … 036
5. 무작계(無作戒) / 택오(擇梧) 율사 … 040
6. 불법을 위해 죽는다면 / 진종(眞宗) 황제 … 043
7. 소동파의 신규각 비문 / 대각회연(大覺懷璉) 선사 … 045
8. 공덕(功德) / 보지(寶誌) 선사 … 048
9. 『화엄경』을 칭송함 / 손사막(孫思邈) … 050
10. 참학(參學)하는 일 / 양억(楊億) … 052
11. 석난문(釋難文) / 희안(希顔) 수좌 … 057
12. 사명법지 스님을 추억하며 / 자운준식(慈雲遵式) 법사 … 061
13. 전생의 원(願)을 이어 / 변재원정(辯才元淨) 법사 … 063
14. 대중공사를 통해 살림의 법도를 정하다
/ 부용도해(芙蓉道楷) 선사 … 067
15. 부뚜막 앞에서 선정에 들다 / 지자지의(智者智?) 선사 … 069
16. 비구라는 말의 뜻 / 대지(大智) 율사 … 071
17. 주지살이 / 영원유청(靈源惟淸) 선사 … 073
18. 좋은 인연들 / 시랑 장구성(張九成) … 075
19. 조산(曹山)의 가풍 / 조산탐장(曹山耽章) 선사 … 083
20. 자기 제문을 짓다 / 고산지원(孤山智圓) 법사 … 087
21. 원력의 영험 / 현장(玄藏) 법사 … 090
22. 좌선의 요법 / 사정(師靜) 상좌(上坐) … 092
23. 노자의 도를 닦다가 불법을 만나다 / 오설초(吳契初) … 094
24. 목선암(木禪菴) / 대수법진(大隋法眞) 선사 … 097
25. 수도자는 가난해야 한다 / 광혜원련(廣慧元璉) 선사 … 101
26. 『정종기(正宗記)』 / 명교설숭(明敎契嵩) 선사 … 103
27. 『감통전기(感通傳記)』 / 도선(道宣) 율사 … 107
28. 지자지의(智者智?) 선사의 행적 … 110
29. 위산의 주인 / 위산영우(?山靈祐) 선사 … 116
30. 『법화경』을 외우다가 깨침 / 증오원지(證悟圓智) 법사 … 119
31. 작은 지조 큰 불법 / 분양선소(汾陽善昭) 선사 … 122
32. 8만 겁을 산다 해도 / 도사 여동빈(呂洞賓) … 125
33. 작은 석가 / 앙산혜적(仰山慧寂) 선사 … 130
34. 지자 대사의 두타행을 잇다 / 바야(波若) 스님 … 133
35. 출가자는 모두 석(釋)씨다 / 불인요원(佛印了元) 선사 … 135
36. 선을 닦는 학인에게 고함 / 회당조심(晦堂祖心) 선사 … 137
37. 3교 성인의 가르침 / 효종(孝宗) 황제 … 139
38. 동정(動靜) 법문 / 현사사비(玄沙師備) 선사 … 142
39. 스스로 강에 장사 지내다 / 묘보(妙普) 수좌 … 145
40. 수식관(數息觀) / 소동파(蘇東坡) … 147
41. 대혜종고(大慧宗?) 선사의 행적 … 148
42. 『금강경송(金剛經頌)』 / 야보도천(冶父道川) 선사 … 153
43. 49일 동안 서서 공부하다 / 불등수순(佛燈守珣) 선사 … 155
44. 진여모철(眞如慕喆) 선사와 양기방회(楊岐方會) 선사에 대한 평
/ 대혜(大慧) 선사 … 157
45. 대혜(大慧) 선사와 굉지(宏智) 선사 … 159
46. 관음보살의 응화 / 마조(馬祖) 선사 … 161
47. 황룡조심(黃龍祖心) 선사의 행적 … 163
48. 구양수(歐陽修)가 만난 노승 … 167
49. 경계하는 글 / 북봉종인(北峰宗印) 선사 … 168
50. 묘총(妙總) 비구니의 행적 … 170
51. 왕안석(王安石)의 해박한 불교지식 … 176
52. 『종경록(宗鏡錄)』 / 영명연수(永明延壽) 선사 … 178
고애원오 스님의 고애만록
해제 … 186
서(序) 1 … 189
서(序) 2 … 193
발문(跋文) … 196
1. 산새 울음소리를 듣고 / 자혜조파(慈慧祖派) … 198
2. 선 공부로 노년을 마무리한 정승 / 황조순(黃祖舜) … 201
3. 고상한 기풍 뛰어난 운치 / 서향(瑞香) 열(烈) … 203
4. 밀암스님의 개당법회에서 / 철편윤소(鐵鞭允韶) … 206
5. 부처님오신날 법문 / 만암치유(萬庵致柔) … 208
6. 황룡의 골수를 얻은 자손 / 진원혜일(眞源慧日) … 210
7. 불행묘숭(佛行妙崧) 선사의 상당법문 … 215
8. 긍당언충(肯堂彦充) 선사의 염송(拈頌) … 219
9. 목동으로 출가하여 / 월림사관(月林師觀) … 222
10. 송원숭악(松源崇岳) 선사의 깨침 … 226
11. 스승의 말씀을 지키며 살다 / 복당(福唐) 명(明) 수좌 … 229
12. 절옹불심(浙翁佛心) 선사가 여찬(如璨) 스님에게 내린 법어 … 232
13. 사천(四川) 출신 스님 파암조선(破庵祖先) … 234
14. 야운처남(野雲處南) 선사의 대중법문 … 236
15. 퇴암도기(退庵道奇) 선사의 대중법문 … 238
16. 단하(丹霞) 스님 찬과 스스로 지은 묘지문 / 귤주보담(橘州寶曇) … 243
17. 일심발원 용맹정진 / 몽암원총(蒙庵元聰) … 247
18. 천동사 여정(如淨) 선사의 게송과 법문 … 251
19. 공수종인(空?宗印) 선사의 선재동자 게송 … 254
20. 상주물에 대하여 … 256
21. 조주 선사와 문원 사미의 이야기를 거량하다
/ 수암사서(秀?師瑞) … 258
22. 철편윤소(鐵鞭允韶) 선사의 개당법문 … 261
23. 파암조선(破庵祖先) 선사의 참선 … 264
24. 경산도겸(徑山道謙) 수좌가 주자(朱子)에게 보낸 편지 … 267
25. 도반의 마음씨 / 소암요오(笑庵了悟)와 송원숭악(松源崇嶽) … 269
26. 임자를 기다리는 법의 / 송원숭악(松源崇岳) … 271
27. 정씨 집안의 훌륭한 스님들 … 273
28. 성도절 상당법문 / 별포법주(別浦法舟) … 275
29. 국사(國史) 진귀겸(陳貴謙)의 『종경록』 간행에 부쳐
/ 쌍삼중원(雙杉中元) … 278
30. 까마귀 머리 무준불감(無準佛鑑) 선사의 깨침 … 281
31. 동짓날 소참법문 / 정산(井山) 밀(密) … 283
32. 즉암자각(卽庵慈覺) 선사의 게송 … 285
33. 중암(中巖) 적(寂) 선사의 대중법문 … 287
34. 혼원담밀(混源曇密) 선사의 대중법문 … 289
35. 국사(國史) 진귀겸(陳貴謙)이
사인(舍人) 진덕수(眞德秀)에게 보낸 편지 … 292
36. 파암(破庵) 노스님의 말씀 / 석전법훈(石田法薰) … 298
37. 문장 좋아하는 병통을 경계함 / 철우(鐵牛) 인(印) … 300
38. 석전법훈(石田法薰) 선사의 고구정녕한 말씀 … 303
39. 무준불감(無準佛鑑) 선사의 염고(拈古) … 305
40. 묘희(妙喜) 스님이 시랑 장자소(張子韶)와
풍제천(馮濟川)에게 던진 질문 / 진원(眞源) 일(日) … 308
41. 동산도원(東山道源) 선사의 행리 … 310
42. 설소(雪巢) 스님의 풍번(風幡) 화두에 대한 거량
/ 진원(眞源) 일(日) … 313
43. 회암(晦?) 휘(暉) 선사의 하안거 해제 법문 … 315
44. 치절도충(癡絶道?) 선사의 말년 법문 … 318
45. 청열(淸烈) 암주의 입멸 … 321
46. 세 구절의 게송으로 제자를 가르치다 / 고월조조(古月祖照) … 323
47. 옹순(翁淳) 절(?) 선사의 법문 … 326
48. 동곡묘광(東谷妙光) 선사 영전에 바친 제문 / 탕동간(湯東澗) … 328
49. 단오절 대중법문 / 쌍삼중원(雙杉中元) … 331
50. 항우의 초상화에 붙인 글 / 치절도충(癡絶道?) … 333
51. 개석지붕(介石智朋) 선사의 하안거 해제 야참법문 … 335
52. 돈으로 주지 자리 사는 풍조의 부당함을
조정에 알리는 상소 / 쌍삼중원(雙杉中元) … 338
53. 남옹여명(南翁汝明) 선사의 발심과 수행 … 343
54. 서산(西山) 양(亮) 선사의 종이 이불 … 346
55. 별봉조진(別峰祖珍) 화상의 사람됨과 수행 / 개석지붕(介石智朋) … 348
56. 불해심월(佛海心月) 선사의 법문과 자취 … 350
57. 서암요혜(西巖了惠) 선사의 대중법문 … 353
58. 승상 정청지(鄭淸之)와 묘봉지선(妙峰之善) 선사의 만남 … 356
59. 원(遠) 상좌 다비식에서 / 월산사(越山寺) 법심(法深) … 357
60. 별옹(別翁) 견(甄) 선사의
세존 정각송(正覺頌)에 대한 염(拈)을 평하다 … 359
무온서중 스님의 산암잡록
해제 … 362
서(序) 1 … 366
서(序) 2 … 368
서(序) 3 … 372
서(序) 4 … 375
1. 덕산(德山)의 말후구(末後句) / 보엽묘원(寶葉妙源) … 378
2. 죽을 날을 받아놓고 / 대방(大方) 인(因) … 381
3. 불법문중에 잘못되어 가는 일을 바로잡다 / 봉산자의(鳳山子儀) … 384
4. 봉산일원(鳳山一源) 스님의 염고(拈古) … 387
5. 요즘 총림의 도반 관계와 사자 관계 … 390
6. 환생한 어린아이 … 394
7. 스스로 자초한 응보 / 장구육(張九六)과 방국진(方國珍) … 396
8. 황암호두(黃巖濠頭)의 행각 … 399
9. 이발사 장씨와 바늘장이 정씨의 게송 … 402
10. 자기를 알아준 은혜에 보답하다 / 서암요혜(西岩了惠) … 404
11. 인과 변화의 이치, 수행과 기도의 영험 / 고정조명(古鼎祖銘) … 407
12. 문 닫고 사는 설법 / 노소(老素) … 409
13. 귀원(歸源) 스님의 문하 … 411
14. 천목중봉(天目中峰) 스님의 수행과 깨침 … 413
15. 절벽에서 떨어져 정(定)에 들다 / 단애요의(斷崖了義) … 415
16. 경산사 본원(本源) 스님의 수행과 주지살이 … 416
17. 역(易) 수좌의 선정 … 419
18. 『능엄경』 「관음원통품」을 읽고 깨쳐 / 묘각사 정(淨) … 422
19. 해운인간(海雲印簡) 대사(大士)의 행장 … 424
20. 궁궐에 나아가 불법을 논하다 / 운봉묘고(雲峰妙高) … 428
21. 『고승전』을 편집하는 태도 / 몽당담악(夢堂曇?) … 431
22. 불광도오(佛光道悟) 선사의 행장 … 435
23. 말세의 신심 / 주(周)씨 노파와 전자중(田子中) … 438
24. 일계자여(一溪自如) 스님의 행장 … 441
25. 지식에 막혀 깨닫지 못하다가 / 종성(宗聖) 각(覺) … 443
26. 허곡희릉(虛谷希陵) 스님의 인연과 수행 … 446
27. 천목사 괴일산(魁一山)의 후신 … 448
28. 일생동안 참선하여 / 회옹청해(會翁淸海) … 451
29. 사재를 용납지 않은 주지 / 동산사 노산(魯山) … 453
30. 죽는 날까지 『능엄경』을 읽다 / 일암(一菴) 여(如) … 455
31. 단강각은(斷江覺恩) 스님의 행장 … 457
32. 성암(省菴) 사(思) 스님의 법문과 게송 … 459
33. 흩어져 가는 선방 요사채 분위기 … 462
34. 대혜스님의 후예로 지조를 지키다 / 소담(少曇) 서(瑞) … 464
35. 생사는 무상한 것 … 466
36. 고난을 구해 주시는 아미타부처님 … 468
37. 머리를 깎다가 사리를 얻다 / 서천축 판적달(板的達) … 470
38. 정토종의 말폐 백련칠불교(白蓮七佛敎) … 472
39. 무정불성(無情佛性)에 관하여 논하다 / 경산 여암(如菴) … 474
40. 계율을 경시하는 말세의 풍조를 개탄하다 … 476
책속으로
01승보
담광(曇光) 법사
당나라 덕종(德宗, 742~805, 재위 779~805)이 담광(曇光) 법사에게 물었다.
“스님들을 어째서 보배라 합니까?”
담광 법사가 대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스님은 여섯 부류가 있는데 그 모두를 보배라 합니다. 첫째, 스스로의 마음을 단박에 깨쳐서[頓悟] 범부를 뛰어넘어 성인의 대열에 들어간 분을 ‘선승(禪僧)’이라 합니다. 둘째, 이해[解悟]와 실천[修行]을 동시에 행하여 세간 흐름에 들어가지 않은 분을 ‘고승(高僧)’이라 합니다. 셋째, 계정혜(戒定慧)를 고루 갖추어 설법 솜씨가 뛰어난 분을 ‘강승(講僧)’이라 합니다. 넷째, 견문이 깊고 알차서 옛일로 지금 일을 검토하는 분을 ‘문장승(文章僧)’이라 합니다. 다섯째, 인과(因果)를 알고 자비와 위엄을 함께 쓰시는 분을 ‘주사승(主事僧)’이라 합니다. 여섯째, 열심히 공부에 정진하여 부처님 종자를 기르는 분을 ‘상승(常僧)’이라 합니다.”
임금은 크게 기뻐하고 마침내 천하에 조서를 내려 승려 되는 것을 허락했다.
- 『당승전(唐僧傳)』
02
두타행
좌계현랑(左溪玄朗) 존자
좌계(左溪) 존자의 법명은 현랑(玄朗, 673~754, 천태종 제5조)이며 오상(烏傷)1 사람이다. 천궁사(天宮寺) 혜위(慧威, 634~713, 천태종 제4조) 법사에게 불법을 배워 종지를 얻고 바위산 골짜기에 숨어 살았는데, 원숭이가 열매를 따가지고 와서 발우에 바치기도 하고 날아가던 새가 와서 법문을 듣기도 하였다. 비구에게 필요한 열여덟 가지 물건2만을 가지고 12두타(十二頭陀)를 행하면서 30년을 살았으며, 세세한 수행과 몸가짐까지도 모두 계율을 따랐다. 이화(李華, 715~767)3는 스님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다.
“누구에게 선법을 전해 준 적도 없고 세상에 모습을 보이지도 않았으며, 계율을 청정히 지켜 흠이 없었고 외모에 신경 쓰지 않았다. 경을 강의해도 대중이 많기를 기대하지 않았으며, 고단한 줄 모르고 학인을 지도했다. 구석진 집에 살면서 두 가지 반찬 있는 밥을 먹지 않았다. 경전을 공부할 때말고는 밤에 등불을 켜지 않았고, 낮에도 부처님 상호를 우러러 예불할 때말고는 한 발짝도 쓸데없이 걷지 않았다. 가사 한 벌로 40년을 지냈고 방석 한 장을 죽을 때까지 갈지 않았다. 이익 때문에는 한마디도 법문한 적이 없고, 터럭만큼도 불법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재물을 받은 일이 없는 분이다.”
- 『본전(本傳)』"
머리말
01승보
담광(曇光) 법사
당나라 덕종(德宗, 742~805, 재위 779~805)이 담광(曇光) 법사에게 물었다.
“스님들을 어째서 보배라 합니까?”
담광 법사가 대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스님은 여섯 부류가 있는데 그 모두를 보배라 합니다. 첫째, 스스로의 마음을 단박에 깨쳐서[頓悟] 범부를 뛰어넘어 성인의 대열에 들어간 분을 ‘선승(禪僧)’이라 합니다. 둘째, 이해[解悟]와 실천[修行]을 동시에 행하여 세간 흐름에 들어가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