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삼킨 대자유인 방 거사① > 월간고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월간 고경홈 > 월간고경 연재기사

월간고경

[지금 여기의 거사선]
우주를 삼킨 대자유인 방 거사①


페이지 정보

김성우  /  2013 년 9 월 [통권 제5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5,577회  /   댓글0건

본문

요즘 유행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가운데 지성인과 전문직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다 보면, 재가불자들은 자신의 종교를 쉽게 드러내지 않음을 볼 수 있다. SNS에서는 “정치나 종교 이야기를 하면 친구를 잃는다”는 말이 회자될 정도여서 종교적인 발언을 하기도 어렵거니와, 기독교인들이 다수인 세상이다보니 불자들은 더욱 소심해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자기의 종교적 신념에 확신이 있다면, 굳이 불교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마음공부와 연관된 좋은 글과 사진으로 얼마든지 시민들을 진리로 이끌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어렵게 불법(佛法)을 만난 재가자라면 응당 진리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자부심으로 세간에서 불자다운 삶을 살아가야 한다. 이러한 삶을 영위할 때 비로소 ‘거사(居士)’라는 호칭이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조정사원』에서는 ‘거사’를 네 가지 덕을 갖춘 인물로 정의하고 있다. 그것은 관직을 탐하지 않고, 욕심을 줄여 덕을 쌓고, 재산이 있는 큰 부자이며, 불도(佛道)를 잘 수호하며 깨달음을 체득한 재가자를 가리킨다. 이처럼 법력(法力)과 재력(才力)을 갖춘 거사들이 활약하는 시대에는 불교가 찬란히 꽃필 수밖에 없다. 인도의 유마 거사, 한국의 부설 거사와 함께 3대 거사로 손꼽히는 방 거사가 활약하던 당 나라 때야말로 대승불교 특히, 선종의 전성기라 할만하다.

 


 

 

방 거사[龐蘊: ? ~ 808]는 중국 당나라 때 호남성(湖南省) 형양(衡陽) 사람으로 이름은 온(蘊)이고 자는 도현(道玄)이다. 아버지가 형양 태수로 부유한 집안에서 자랐다. 친구 단하와 과거시험을 보러가다가 주막에서 한 스님을 만나면서 진리의 세계를 접하게 된다. “선관장(選官場)에서 관료가 되기보다 선불장(選佛場)에서 부처 되는 것이 으뜸이다”는 스님의 말에 성불을 발원하고 당대의 선지식인 석두희천, 마조도일 스님 문하로 들어간다. 친구 단하는 훗날 목불을 태워 사리를 찾던 단하천연(丹霞天然) 선사로 명성을 떨치게 된다.

 

방 거사는 석두 선사와 마조 선사의 법을 이은 거사로서 약산유엄, 단하천연 선사 등 제방의 뛰어난 선승들과 많은 선문답을 나누어 선종어록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재가불자가 되었다. 원래 부호(富豪)로 잘 살다가 견성오도한 후에 전답(田畓)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가재(家財)도구는 동정호(洞庭湖)에 내던져 버린 후, 그의 처와 딸 영조(靈照), 아들과 함께 초가삼간에 몸을 담아 돗자리를 짜고 짚신을 삼고, 대나무로 조리를 만들어 팔면서 청빈하게 살았다. 한국의 부설 거사 가족처럼 온가족이 모두 불법을 깨달아 재가수행자의 전범이 된 거사는 세간과 총림에서 모두 존경을 받은 선지식으로서 오늘날까지도 회자되고 있는 분이다.

 

만법과 짝하지 않는 것은 당신의 ‘성품’이다

 

이제 방 거사의 고준(高峻)한 살림살이를 알아보자. 『벽암록』 ‘평창(評唱)’에 따르면 방 거사는 석두(石頭) 선사를 처음 찾아갔을 때 이렇게 질문했다고 한다.

“만법과 짝하지 않는 자는 어떤 사람입니까?”
이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선사가 거사의 입을 틀어막는 바람에 깨친 바가 있어 다음과 같은 게송을 지었다.

 

‘날마다 하는 일 별다른 것 없네, 나 스스로 마주칠 뿐이다. 사물에 대해 취하고 버리려는 망심이 없고, 곳곳마다 펴고 오므릴 차별심도 없으니, 붉은 빛 자주 빛을 그 누가 분별하리오! 청산은 한 점 티끌마저 끊겼고, 신통과 묘용이란 물 긷고 나무하는 일이로구나.’

 

이 문답에서 ‘만법(萬法)’은 온갖 현상과 존재를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만법과 짝하지 않는 사람’이란 외부의 사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존재이다. 현상세계의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깨달음과 미망, 부처와 중생 등 온갖 분별에 집착하거나 매이지 않은, 그 무엇으로부터도 자유로운 존재를 상징한다. 즉 삼계 속에 있지만 삼계로부터 벗어나 있는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자 주인공, 불성, 자성, 성품이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화두이다.

 

그야말로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한 존재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석두 선사는 물음이 미처 끝나기도 전에 입을 틀어막으며 말문을 막아버렸다.

 

부모로부터 태어나기 이전, 선도 악도 생각하기 이전, 시간과 공간이 창조되기 이전의 본래자리를 어찌 분별의식으로 알 수 있겠는가. 석두 선사는 본래심의 당체(當體)가 ‘온갖 마음의 작용이 미치지도 못하고[心行處滅] 언어조차 끊어진[言語道斷]’ 자리임을 일러준 동시에 또 하나의 비밀스런 가르침을 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입을 틀어막는 무념행(無念行)을 통해 불성의 지혜작용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질문에 대한 답이 바로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이것’이라고 힌트를 주고 있다.

 

분별ㆍ집착 없는 무위행으로 마음 비우면 ‘부처’

 

여기서 방 거사는 느낀 바가 있어서 ‘문 없는 문’의 문고리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확철대오를 한 것은 아니어서, 곧 마조(馬祖) 대사를 방문하고 똑같은 질문을 하게 된다.

 

“만법과 짝을 삼지 않는 자는 누구입니까?”
“그대가 서강(西江)의 물을 한 입에 다 마셔버린다면 대답해주마.”

 

마조 대사의 거침없는 대답에 방 거사는 큰 깨달음을 얻었다. 그는 비로소 온 세상의 물은 물론, 우주를 한 입에 삼켰다 뱉을 수 있는 삼계(三界)의 주인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모든 의문을 한순간에 절단해버리는 마조 대사의 방편을 통해 언어이전, 생각이전의 본래심을 증득한 방 거사는 다음과 같은 게송을 지어 대사께 지어 바쳤다.

 

시방에서 행자들 모여들어[十方同共聚]
모두가 제각기 무위를 배우나니[箇箇學無爲]
여기는 부처 뽑는 과거장이라[此是選佛場]
마음 비워 급제해 돌아가노라[心空及第歸].

 

이 게송에서 ‘마음을 비운다’[心空]는 것이 수행의 핵심적인 방편임은 누구나 알지만 실천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입으로는 “수행을 한다”, “불교를 공부한다”고 하지만, 거기에는 대부분 목적의식이 깔려 있다. 수행을 통해 자기 만족이나 명예, 건강과 행복과 같은 무엇인가를 얻으려 하는 마음 즉, 집착과 욕망이 무의식 속에 숨어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우리가 목표로 하는 깨달음이나 열반은 얻을 바가 없고[無所得法], 그 무엇이라고 정해진 것도 아니다[無有定法]. 그러니 무엇을 얻거나 추구하는 욕망이 눈꼽만큼 이라도 남아있다면 그르치고 만다.

 


중국 호북성 의성 방거촌에 소재한 동굴 방거동

 

이런 점에서 방 거사는 “무위(無爲)를 배워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함이 없다’는 것은 인위적인 조작이나 고정관념, 집착, 분별심, 치구심, 욕망이 없는 무념행(無念行)을 말한다. 이른바 육조혜능 대사가 『금강경』 설법에서 깨친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應無所住 而生其心]”는 법문과 같다. 따라서 선(禪)을 닦는 수행자라면 늘 구하는 마음 없이, 좋으니 싫으니 하는 분별심 없이, 깨달음이니 열반이니 하는 그 무엇에도 집착하거나 끄달림 없이, 그 무엇도 ‘하는 바 없이’, ‘닦는 바 없이 닦아야[無修之修]’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음공부를 한다는 것은 밥 먹고, 똥 싸고, 일하고, 잠자는 24시간 가운에 이뤄져야 함은 물론이다. 수덕사 방장을 역임한 고故 원담 선사께서 즐겨 쓰시던 휘호에는 이러한 깊은 의미가 담겨 있다.
‘十二時中 不作一物(24시간 내내 하나의 망상도 짓지 말라)’.

 

언제 어디서 무슨 일을 하던 고정관념과 집착 없이 대상과 하나가 되어 무심(無心)으로 행한다면 그것이 바로 무위행이요, 물 긷고 땔 나무 나르는 신통묘용(神通妙用)일 것이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김성우
金聖祐

도서출판 비움과소통 대표. 경북 안동 생(生). 성균관대 동양철학과를 졸업한 뒤 현대불교신문사에서 취재부 기자 및 차장, 취재부장을 역임. 현재 도서출판 비움과소통 대표와 넷선방 구도역정(http://cafe.daum.net/ kudoyukjung) 운영자로 활동하며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를 통해 법음을 전하고 있다. 저서에『문없는 문, 빗장을 열다』,『선(禪)』,『선답(禪答)』등이 있다. 아호는 창해(蒼海ㆍ푸른바다), 본명은 김재경.
김성우님의 모든글 보기

많이 본 뉴스

추천 0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 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32호

발행인 겸 편집인 : 벽해원택발행처: 성철사상연구원

편집자문위원 : 원해, 원행, 원영, 원소, 원천, 원당 스님 편집 : 성철사상연구원

편집부 : 02-2198-5100, 영업부 : 02-2198-5375FAX : 050-5116-5374

이메일 : whitelotus100@daum.net

Copyright © 2020 월간고경. All rights reserved